가던 길 멈추고

[스크랩] 합천 청량사 석등(淸凉寺 石燈)

문근영 2017. 4. 10. 09:22

합천 청량사 석등(淸凉寺 石燈)






화사석·옥개석·앙련석


화사석·옥개석·앙련석


하대석 사자상


기단부 하대의 복련문과 향로 조각


하대석


지정 번호; 보물 253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매화산 청량사(황산리 973)

지정일; 1963121

시대; 통일신라시대

분류; 석등

내용; 합천 청량사 석등은 합천 가야면 황산리의 매화산(梅花山) 청량사 안에 3층 석탑(보물 266)과 나란히 놓여 있는 석등이다. 각 부재가 8각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래에서부터 받침부분과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 지붕돌과 머리장식 부분으로 구성된다. 8각의 아래 받침돌은 측면에 사자상과 향로를,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각 끝마다 작은 꽃을 돌출시켰다. 가운데기둥은 장고를 세워놓은 모양이며, 그 위로 연꽃모양의 윗받침돌을 올렸다. 받침 부분 위로는 불을 밝히는 화사석이 놓여있는데 네 면에 창을 내고 옆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지붕돌은 얇은 편으로 경사면은 완만하고 각 귀퉁이는 곡선을 이루며 치켜 올려져 있어 경쾌하다. 머리장식 부분은 형태가 분명하지 않은 두 개의 돌이 남아 있을 뿐이다.

특기 사항; 청량사 석등은 전체적으로 평면이 8각인 석재를 층층이 쌓아 올려 신라시대의 기본 양식을 잘 따르고 있으나, 받침부의 가운데기둥이 변형된 점이나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9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