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던 길 멈추고

[스크랩] 합천 청량사 3층 석탑(淸凉寺 三層石塔)

문근영 2017. 4. 6. 14:26

합천 청량사 3층 석탑(淸凉寺 三層石塔)



전경


전경




탑과 석등


탑신부 세부


상·하층 기단부


기단부


지정 번호; 보물 266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매화산 청량사(황산리 973)

지정일; 1963121

시대; 통일신라시대

분류; 석탑

내용; 합천 청량사 3층 석탑은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의 청량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청량사는 매화산(梅花山) 기슭에 있는 사찰로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최치원(崔致遠; 857~미상)이 거주했던 곳이라고 한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며, 바닥돌 아래에 화강석을 두른 널찍한 구역을 이루고 있는 보기 드문 모습을 하고 있다. 바닥돌 위의 아래층 기단은 가운뎃돌을 한 돌로 하여 4매의 석재로 구성하였다. 아래·위층 기단에는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기단부의 맨 윗돌 네 모서리는 약간 치켜 올라가 있어 특색이 있고, 그 위로 2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돌로 구성하였으며,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아래에 5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경사진 면은 완만하나 네 귀퉁이는 경쾌하게 치켜 올라가 있다.

특기 사항; 청량사 3층 석탑은 각 부분이 아름다운 균형을 이루면서 조각 수법도 경쾌하고 우아하여, 통일신라시대 9세기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대표할 만한 작품이다. 1958년 이 탑을 수리할 때 3층 지붕돌에서 사리를 두던 둥근 공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