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대장경판(海印寺 大藏經板)
•지정 번호; 국보 32호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가야산 해인사 법보전과 수다라장(치인리 10)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고려 고종 24∼35년(1237∼1248)
•분류; 판목류
•내용;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말하며, 불교 경전의 총서를 가리킨다. 이 대장경은 1237∼1248년(고려 고종 24∼35)에 걸쳐 간행되었다. 이것은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다고 해서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라고도 하고, 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에 해당하는 8만 4천 법문을 실었다고 하여 8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고도 부른다.
대장경판을 만들게 된 동기는 고려 현종(顯宗) 때 새긴 초조대장경(初雕大藏)이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 없어지자 다시 대장경을 만들었으며, 그래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이라고도 한다. 몽골군의 침입을 불교의 힘으로 막아보고자 하는 뜻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장도감(大藏都監)’이라는 임시 기구를 설치하여 새긴 것이다. 새긴 곳은 경상남도 남해에 설치한 분사 대장도감(分司大藏都監)에서 담당하였다. 원래 강화도 성 서문 밖의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에 보관되었던 것을 선원사(禪源寺)를 거쳐 1398년(태조 7) 5월에 해인사로 옮겨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현재 해인사 법보전(法寶殿)과 수다라장(修多羅藏)에 보관되어 있는데 일제시대에 조사한 숫자를 보면 81,258장이지만 여기에는 조선시대에 다시 새긴 것도 포함되어 있다. 경판의 크기는 가로 70㎝ 내외, 세로 24㎝ 내외이고, 두께는 2.6㎝ 내지 4㎝이다. 무게는 3㎏ 내지 4㎏이다.
구성을 보면 모두 1,496종 6,568권으로 되어있다. 이 대장경의 특징은 사업을 주관하던 개태사(開泰寺) 승통(僧統)인 수기대사(守其大師)가 북송관판(北宋官版), 거란본(契丹本), 초조대장경을 참고하여 내용의 오류를 바로잡아 대장경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특기 사항; 대장경판은 현재 없어진 송나라 북송관판이나 거란의 대장경의 내용을 알 수 있는 유일한 것이며, 수천만 개의 글자 하나하나가 오자·탈자 없이 모두 고르고 정밀하다는 점에서 그 보존 가치가 매우 크며, 현존 대장경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재이다. 또한 2007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34) / 4대 사고의 기구한 종말 (0) | 2017.03.01 |
---|---|
[스크랩]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海印寺 藏經板殿) (0) | 2017.03.01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32) / 식민지 연구 자료로 이용된 규장각 장서(奎章閣 藏書) (0) | 2017.02.25 |
[스크랩] 합천 해인사(海印寺) (0) | 2017.02.25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31) / 일제 병기창으로 끌려갈 뻔한 보신각종(普信閣鍾)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