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16] 봉정사(鳳停寺) 대웅전(大雄殿) [유홍준의 국보순례] [16] 봉정사(鳳停寺) 대웅전(大雄殿) 유홍준 명지대 교수·미술사 입력 : 2009.07.15 22:25 / 수정 : 2009.07.20 09:27 보름 전, 보물 제55호였던 안동 봉정사(鳳停寺) 대웅전(大雄殿)이 국보 제311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건축양식상 우리나라 다포(多包)집 중 고식(古式)을 보여준다는 ..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2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14] 조선 왕릉(朝鮮 王陵) [유홍준의 국보순례] [14] 조선 왕릉(朝鮮 王陵)[ 명지대 교수·미술사 입력 : 2009.07.01 23:16 / 수정 : 2009.07.06 10:54 조선 왕릉(王陵) 40기가 마침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로써 우리는 또 하나의 세계문화유산을 갖게 되었으니 가슴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세계가 알아주는 이 조..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2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13] 취병(翠屛)| 유홍준의 국보순례] [13] 취병(翠屛) 명지대 교수·미술사 입력 : 2009.06.24 23:46 / 수정 : 2009.06.26 10:10 궁궐 담장의 기본은 사괴석(四塊石·벽이나 담을 쌓는 데 쓰는 육면체의 돌) 기와돌담이다. 네모난 화강석을 가지런히 쌓고 석회로 줄눈을 넣어 반듯하게 마감하고는 그 위에 기와를 얹은 것이다. 이 사..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2
[유홍준의 국보순례] [12] 궁궐의 박석(薄石)| [유홍준의 국보순례] [12] 궁궐의 박석(薄石) 유홍준 명지대 교수·미술사 입력 : 2009.06.18 03:00 / 수정 : 2009.06.19 09:29 우리 궁궐 건축이 남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는 데는 박석(薄石 또는 博石)이 큰 몫을 하고 있다. 박석은 고급 포장 재료이다. 넓적한 화강암 돌판으로 두께는 보통 12cm이고 넓이는 ..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2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11] 피맛골 백자항아리 입력 : 2009.06.10 22:33 / 수정 : 2009.06.10 23:34 지난 6일 재개발 사업이 한창인 서울 종로구 청진동 '피맛골'에서 당장 나라의 보물로 지정해도 한 치 모자람이 없는 조선 초기 순백자 항아리 석 점이 발굴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사를 본 나의 지인 중에 백자의 빛깔이 눈부시고 형태도 듬직해서 이제까..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1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10] 검이불루(儉而不陋) 입력 : 2009.06.03 22:09 / 수정 : 2009.06.05 09:16 우리 궁궐 건축에 나타난 특질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답은 '검이불루(儉而不陋)'이다. '검이불루'란 검소하지만 누추하지는 않다는 뜻으로,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처음 나온다. 〈삼국사기〉 백제 온조왕 15년(BC 4년)조에 "새로 궁궐을 ..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1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9] 경복궁(景福宮)의 빈전(殯殿) 입력 : 2009.05.27 22:27 / 수정 : 2009.05.27 23:22 궁궐에는 많은 전각(殿閣)이 있어 흔히 구중(九重) 궁궐이라며 복잡한 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몇 개의 권역으로 간명히 나뉘어 있다. 하나는 나라의 정사(政事)를 돌보는 치조(治朝) 공간으로 근정전(勤政殿), 사정전(思政殿)과 여러 ..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1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8]수중문화재 입력 : 2009.05.20 23:02 1976년 봄부터 9년간 이어진 신안해저유물 발굴은 우리나라 수중고고학(水中考古學)을 동양의 선두주자로 나서게 한 문화사적 대사건이었다. 500t급 선박의 3분의 1 선체를 인양하고, 도자기 3만점, 금속공예품 700여 점, 고급목재인 자단목(紫檀木) 1000여 자루, 그리고 중국 옛 동전을 80..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1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7] 태안 해저유물 입력 : 2009.05.13 22:29 / 수정 : 2009.05.15 09:20 태안(泰安) 앞바다에서 또 다량의 도자기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재작년 낚시에 걸린 주꾸미가 청자대접 하나를 붙잡고 올라오는 바람에 2만3000점의 고려청자를 인양했는데 이번에는 고려·조선은 물론 송나라·청나라 도자기까지 발견되어 더욱 큰 관심을 모..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7.01
[스크랩] [6] 입하(立夏)의 개화(改火) [유홍준의 국보순례] [6] 입하(立夏)의 개화(改火) 명지대 교수·미술사 입력 : 2009.05.06 22:46 엊그제(5일)가 입하(立夏)였다. 현대사회에서 이날의 의미란 그저 달력상 여름으로 들어섰구나 하는 정도일 것이다. 그러나 자연과 긴밀히 호흡을 맞추며 살았던 조선왕조 시대에는 절기가 바뀌는 입춘·입하.. 문화유산을 찾아서 201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