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을 찾아서 2705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31]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

박물관에 가면 '원(原)삼국시대'라는 표기가 있다. 이것이 한때는 국회 문방위에서 문제로 된 적이 있다. 왜 우리나라 박물관에는 삼한시대라는 표기는 없고,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배운 바도 없는 '원삼국시대'라는 말이 나와 학생과 일반인들을 혼동시키느냐는 것이었다. 당연한 문제제기이지만 ..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30] 울주 천전리 암각화

1971년 울주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할 때 여기서 2km 떨어진 천전리 계곡 가에서 또 다른 암각화가 발견되어 국보 147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폭 10m의 비스듬히 기운 바위 면에 동물·인물·추상무늬·글씨 등이 다양하게 새겨져 있는 것이었다. 이 바위 앞에는 넓은 너럭바위가 있어 제의(祭儀)를 지내..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29] 반구대 암각화

국보 제285호 반구대 암각화가 여전히 보존문제로 관계자들을 고민 속에 빠트리고 있다. 울산시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이 암각화는 1971년 태화강 상류에 식수를 위한 사연댐을 만들게 되자 수몰지구의 문화재를 조사하던 동국대 문명대 교수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높이 4m, 폭 8m의 암벽에 고래·사슴·..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28]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한 원로 미술사가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 회상조로 하신 말씀이 "평생 기억에 남는 감동적인 작품이 한 점만 있어도 그 전시는 훌륭한 전시였다는 생각이 든다"고 하셨다. 지금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에는 평생 기억에 남을 만한 명화가 여러 점 선보이고 있다. 그중 하나가 고려불화 '수월관음도(水..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27]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전을 계기로 우리는 한국미술사 불후의 명작인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또 한 번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1986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옛 조선총독부 건물에 재개관할 때 보름간 전시된 것이 국내를 떠난 뒤 처음 공개된 것이고, 1996년 호암미술..

[스크랩] [유홍준의 국보순례] [26]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지난 6월, 서울 강남의 도산대로에 개관한 호림(湖林) 아트센터는 유흥문화로 가득한 이 지역에 품위 있는 문화의 향기를 심어주는 새로운 명소로 되었다. 테제건축(대표 유태용)에서 설계한 이 호림아트센터는 세 개의 건물이 어우러져 하나의 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백자 항아리의 곡선을 살린 5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