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당선작]
허 균(許筠)
박성민
때늦은 여름밤에 그대 마음 읽는다
지금도 하늘에선 칼 씌워 잠그는 소리
보름달 사약 사발로 떠 먹구름을 삼켰다
어탁(魚拓)처럼 비릿한 실록의 밤마다
먹물로 번져가는 모반의 꿈 잠재우면
뒷산의 멧새소리만 여러 날을 울고 갔다
[당선소감]
“나는 빈 그릇… 절실한 삶의 공간 담을 것”
눈이 내립니다.눈발들의 행간 사이로 멀리 거리가 보입니다.11월부터 내리기 시작한 눈은 그치고 또 생각난 듯이 내렸지만 마음속에는 항상 눈발이 흩날렸습니다.
신춘문예에 응모하기 보름 전부터 패닉상태에 빠졌습니다.썼을 때의 만족감에서 벗어나 몇 달이 지나자 제 시에 치렁치렁 걸쳐진 장식물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긴장감이 떨어지는 시구들,행간을 매립하는 시구들을 걷어냈습니다.
몇 개의 시어들이 그럴듯하게 조합된 콜라주를 걷어내자 어떤 시는 단 석 줄만 남기도 했고 아예 사장(死藏)된 것도 있었습니다.이러다가 뭘 하나 싶기도 했고,20대에 겁 없이 원고지 37장에 해당하는 장시를 쓸 때의 그 무모함이 차라리 그리워지기도 했습니다.불 끄고 누워도 눈꺼풀이 감기지 않았습니다.
“항상 누워만 있던 땅의 일부가 그 지루함을 견디다 못해 어느 날 벌떡 일어선 모습이 가로수”라고 했던 영국 작가 체스터톤의 말처럼 제 스스로가 지루해질 무렵 저는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다시 일어나 앉았습니다.
눈이 아직도 내립니다.당선통보를 듣던 오전의 멍한 느낌이 생각납니다.제 곁에서 항상 변함없는 성원을 보내주는 가족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허형만,송수권 선생님과 이동하,이승하 선생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이 겨울에도 눈을 맞고 있을 풀잎들,항상 힘이 돼 주었던 비유와 상징의 시인들,문창과 학우들에게 고마움의 말을 전합니다.
많은 선생님들과 글벗들과 선후배님들이 곁에 있음으로 하여 오늘이 있음을 잘 압니다.제 미약한 영혼을 끝까지 놓지 않고 읽어주신 심사위원님들과 서울신문사에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저는 시조를 독학하였으므로 시조에 대해서 첫 스승이 바로 심사위원님들이십니다.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것을 잘 압니다.저는 작은 그릇일 뿐이지만,그릇의 용도가 모양이 아니라 비어있음의 공간이라는 걸 깨닫고 절실한 삶의 공간을 제 시조에 담기 위해 더욱더 정진하겠습니다.
■ 약력
-1965년 목포 출생
-중앙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사과정
-2002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목포 훈민정음 국어학원 원장
[심사평]
압축된 정형미… 탄탄한 짜임새
감상적 아나키에 휩싸인 듯이 감정이 과잉 소비되는 요즘,쉽게 뜨거워졌다가 다시 쉽게 식어 버리는 마음들이 넘친다.이처럼 정서의 기복이 심한 초고속 감정의 현대에도 오랜 전통의 시조가 어울리는 까닭은 정형의 틀로 어지러운 생각을 추스르고,운율 안에 서정이 담긴 고유 미학 때문이다.
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 응모작은 천년 역사를 지닌 시조의 현대적 진화를 개척하고 있다.그런 만큼 당선작을 1편이 아니라 20편가량 선정하고 싶을 만큼 수준 높은 완성도를 보였고,시적 호흡을 길게 하면서도 짜임새를 잃지 않은 3~5수에 이르는 작품들이 많았다.정형시의 구성을 지키면서 저마다의 해석을 가미하여 운율의 묘미를 살렸고,글감의 다양성이 발상의 실험에 그치지 않고 노련한 창작으로 이어져 현대 시조에 대한 이해가 새로워지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당선작 박성민의 ‘허균(許筠)’은 무엇보다 압축된 정형미가 돋보인다.3수 이상이 주를 이루는 응모작들 사이에서 ‘허균(許筠)’은 2수로 되어 다소 간결하게 보이나,구성의 부피감과 상관없이 탄탄한 짜임새가 작품 전반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역사 속의 인물 ‘허균’을 소재로 삼으면서 이야기 서술로 흐르지 않고 내적으로 승화시켜 역량을 발휘하며,빼어난 이미지 형상화까지 더해져 시조의 품격과 날카로운 감수성을 함께 갖춘 절창이다.
최종심에 오른 김문정의 ‘환한 그늘’,최순섭의 ‘가을 흰 나비’,황윤태의 ‘외도,보타니아의 저녁’,천강래의 ‘겨울비-어느 탈북 미망인’,방승길의 ‘흙 한 줌도 뜨거운,-무용총 수렵도’ 또한 남다른 착상의 시어와 매끄럽게 재단된 표현이 뛰어난 연륜을 보였다.다만,심상의 이미지 전환,그리고 각각의 연과 언어의 흐름이 만들어 내는 시적 리듬에 있어 아쉬움을 남겼다.이들과 더불어 응모작들 편편마다 시조의 밝은 앞날을 예시하고 있는 것이 장르의 기쁜 수확이라 여겨진다.<이근배·한분순>
'2022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 신춘문예 경남일보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
2009 신춘문예 농민신문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창조문학신문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경상일보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국제신문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