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거창 수승대(搜勝臺) 거창 수승대(搜勝臺) •지정 번호; 명승 53호 •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890 •지정일; 2008년 12월 26일 •분류; 명승지 •내용; 거창 수승대는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영남 제일의 동천(洞天; 산천으로 둘러싸인 경치 좋.. 가던 길 멈추고 2017.02.16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5) / 약탈자들에게 바꿔치기 당한 유점사 53불(楡岾寺 五十三佛) <한국 문화재 수난사>(25) / 약탈자들에게 바꿔치기 당한 유점사 53불(楡岾寺 五十三佛) 금강산 유점사 전경 유점사 능인보전 유점사 53불 1912년, 금강산 지역의 불교 유적을 조사하러 갔던 일본인 전문가 세키노 다다시(關野 貞; 1868~1935)와 야쓰이 세이치(谷井濟一)는 내금강께의 유점사.. 가던 길 멈추고 2017.02.14
[스크랩] 거창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迦葉庵址 磨崖如來三尊立像) 거창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迦&#63854;庵址 磨崖如來三尊&#63991;像) &#8226;지정 번호; 보물 530호 &#8226;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산6-2 &#8226;지정일; 1971년 7월 7일 &#8226;시대; 고려시대 &#8226;분류; 불상 &#8226;내용; 거창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은.. 가던 길 멈추고 2017.02.14
[스크랩] 북한의 국보 125호(30) / 개성 관음사 대웅전(開城 觀音寺 大雄殿) 북한의 국보 125호(30) / 개성 관음사 대웅전(開城 觀音寺 大雄殿) 관음사는 개성시 산성리 대흥산성(大興山城) 안에 있는 사찰로 박연폭포(박연폭포)에서 1km쯤 올라가면 있다. 고려 초기인 970년(경종 2)에 처음 세우고, 1393년(태조 2) 그 규모를 확장한 뒤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쳤으며, 현재.. 가던 길 멈추고 2017.02.12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4) / 삼국시대 최대의 걸작 금동 반가 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 <한국 문화재 수난사>(24) / 삼국시대 최대의 걸작 금동 반가 사유상(&#63754;銅半跏思惟像) 앞에서 세키노 다다시(關野 貞; 1868~1935) 박사의 불상 관계 강연과 당시 어떤 일본인이 입수해 갖고 있던 삼국시대의 귀중한 금동 불상에 대해 언급한 아사카와 노리다카(淺川伯敎; 1884~1964)는 .. 가던 길 멈추고 2017.02.12
[스크랩] 거창 당산리 당송(棠山里 棠松) 거창 당산리 당송(棠山里 棠松) &#8226;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410호 &#8226;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당산리 331 &#8226;지정일; 1999년 4월 6일 &#8226;분류; 노거수 &#8226;내용; 거창 당산리 당송은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가 14.3m, 둘레는 4.10m이다. 나무껍질은 거북.. 가던 길 멈추고 2017.02.12
[스크랩] 북한의 국보 128호(29) / 개성 숭양서원(開城 崧陽書院) 북한의 국보 128호(29) / 개성 숭양서원(開城 崧陽書院) 개성시 선죽동에 있는 서원으로 정몽주(鄭夢周)의 옛 집터라 전한다. 1573년(선조 6) 문충당(文忠堂)을 창건하고, 정몽주·서경덕(徐敬德)의 위패를 모셨다. 1575년에 '숭양'이란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했다. 1668년(현종 9)에 김상헌(金.. 가던 길 멈추고 2017.02.12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3) / 땅속의 쇠솥에서 나온 형제불 <한국 문화재 수난사>(23) / 땅속의 쇠솥에서 나온 형제불 1907년 어느 날, 충남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서 마을사람 하나가 땅을 파다가 우연히 뚜껑이 덮인 옛날 쇠솥 하나를 발견했다. 솥 안에는 금빛도 찬연한 작은 부처님이 둘이나 들어 있었다. 선량한 발견자는 그 사실을 숨기지 .. 가던 길 멈추고 2017.02.12
[스크랩] 거창 동계 종택(桐溪 宗宅) 거창 동계 종택(桐溪 宗&#64004;) &#8226;지정 번호; 중요민속문화재 205호 &#8226;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동1길 13(강천리 50-1) &#8226;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8226;시대; 조선 순조 20년(1820) &#8226;분류; 고가옥 &#8226;내용; 거창 동계 종택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온(鄭.. 가던 길 멈추고 2017.02.10
[스크랩] 북한의 국보 127호(28) / 개성 성균관(開城 成均監) 북한의 국보 127호(28) / 개성 성균관(開城 成均監) 성균관(成均館)은 고려 말부터 이어진 조선의 최고 교육 기관이다. 그 명칭은 고려 충렬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감(成均監)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다가 이어 충선왕 때 성균관(成均館)으로 개명하였다. 공민왕 때는 한 때 국자감(國子監).. 가던 길 멈추고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