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迦葉庵址 磨崖如來三尊立像)
•지정 번호; 보물 530호
•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산6-2
•지정일; 1971년 7월 7일
•시대; 고려시대
•분류; 불상
•내용; 거창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은 바위면 전체를 배[舟] 모양으로 파서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를 만들고 그 안에 3존불(三尊佛) 입상을 얕게 새기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本尊佛)은 얼굴이 비교적 넙적하며, 얼굴에 비하여 작은 눈·코·입, 밋밋하고 긴 귀 등에서 둔중하고 토속적인 인상을 풍긴다. 신체의 표현은 각 지게 처리된 어깨, 굴곡 없이 차분한 가슴, 막대 같은 다리와 좌우로 벌린 발 등에서 고려시대의 형식화된 면이 보인다. 좌·우 협시보살(挾侍菩薩)은 본존불과 거의 같은 형식으로 조각되었지만 어깨의 표현이 본존불보다는 부드러운 곡선을 하고 있다.
•특기 사항; 가섭암지 마애 여래 3존 입상은 끝이 날카로워진 연꽃무늬 대좌(臺座)와 새의 날개깃처럼 좌우로 뻗친 옷자락 등은 삼국시대의 양식과 비슷하지만 형식화되고 도식적인 요소가 보인다. 결국 이 불상은 삼국시대 불상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적인 요소가 반영된 마애불상(磨崖佛像)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거창 수승대(搜勝臺) (0) | 2017.02.16 |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5) / 약탈자들에게 바꿔치기 당한 유점사 53불(楡岾寺 五十三佛) (0) | 2017.02.14 |
[스크랩] 북한의 국보 125호(30) / 개성 관음사 대웅전(開城 觀音寺 大雄殿) (0) | 2017.02.12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4) / 삼국시대 최대의 걸작 금동 반가 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 (0) | 2017.02.12 |
[스크랩] 거창 당산리 당송(棠山里 棠松) (0) | 201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