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비봉리 패총(飛鳳里 貝塚)
전경
발굴 조사 전경
패총
배 출토 상태
편물 노출 상태
말목 노출 상태
갈돌과 갈판
출토 유물 현황
출토 유물 현황
출토 유물 현황
출토 유물 현황
출토 유물 현황
출토 유물 현황
탄화물
•지정 번호; 사적 486호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비봉리 43 외
•지정일; 2007년 8월 28일
•시대; 신석기시대
•분류; 선사 유물(패총)
•내용; 창녕 비봉리 패총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신석기시대 저습지(低濕地) 유적이다. 해수면의 변동에 의한 습지화 된 환경에서 자란 나무와 풀을 비롯한 유기물이 다량으로 출토되고 있어 초기에는 낙동강 중류까지 바닷물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토기 및 석기 중심의 신석기 문화에서 나아가 유기물을 통한 생업이나 고환경, 생태계의 연구와 복원을 추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망태기 및 목기(木器)를 비롯하여 분석(糞石; 생물의 배설물로 만들어진 화석)과 멧돼지・사슴을 그린 동물그림 등이 출토되었고, 이곳에서 출토된 소나무로 만든 환목주(丸木舟)는 기원전 6,000년 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배로 알려진 도리하마[鳥浜] 1호나 이키리키[伊木力] 유적 출토품보다 약 2,000년 이상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해안 신석기 문화는 조기・전기・중기・후기・만기로 구분하는데, 유적의 각 층에서 출토된 토기로 인해 전 기간의 명확한 토기 편년 자료가 확보됨에 따라 남해안 신석기시대의 토기 변화는 융기문(隆起文) → 압인문(押引文) → 태선침선문(太線沈線文) → 이중 구연 토기(二重口緣 土器)의 순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기 사항; 내륙 지방에서 발견된 최초의 신석기시대 패총 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선사시대의 배와 신석기시대 편물 기술을 보여주는 망태기를 비롯하여 대규모 도토리 저장 시설 등이 출토되어 신석기시대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확인되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 영산 석빙고(靈山 石氷庫) (0) | 2016.11.11 |
---|---|
[스크랩] 창녕 영산 만년교(靈山 萬年橋) (0) | 2016.11.11 |
[스크랩]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 (0) | 2016.11.09 |
[스크랩] 대한민국 국보 13호 (0) | 2016.11.05 |
[스크랩]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 (0) | 2016.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