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관룡사 대웅전(觀龍寺 大雄殿)
정면
측면
귀공포
외부 귀공포
내부 불당
북단
내부
내부
내부 후불 벽화(수월관음도)
•지정 번호; 보물 212호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관룡사길 171(옥천리 292) 관룡산 관룡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시대; 조선 광해군 9년(1617)
•분류; 사찰 건축
•내용; 관룡사는 창녕읍 옥천리의 관룡산(觀龍山)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 불교 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로 394년(내물왕 39)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통일신라시대 8대 사찰 중 하나로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경치가 좋기로도 유명하다. 원효(元曉)가 제자 송파(松坡)와 함께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드리다 갑자기 연못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보고, 그때부터 절 이름을 ‘관룡사’라 하고 산 이름을 구룡산(九龍山)이라 불렀다는 전설이 있다. 대웅전은 원래 석가모니 불상을 모셔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이하게 이 관룡사 대웅전엔 비로자나 3존불을 모시고 있다. 1965년 8월 보수 공사 때 천장 부근에서 발견한 상량문(上樑文)에 따르면 이 건물은 1401년(태종 원년)에 짓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불타버린 것을 1617년(광해군 9)에 고쳐 세워 이듬해에 완성하였고, 1749년(영조 25) 중수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창녕 관룡사 대웅전은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내부에는 중앙 뒷줄에 큰 기둥 2개를 세우고, 그 위에 걸친 대들보에는 좌우로 옆면의 기둥에 걸쳐 충량(衝樑; 측면 보)을 2개씩 설치하였다. 천장은 우물천장인데 중앙 부분을 주위보다 한층 높게 한 것이 특징이며, 바닥에는 마루를 깔고 큰 기둥에 의지하여 불단을 두었고 그 위에 닫집을 달았다. 기둥 위로 처마 밑을 받친 공포(栱包; 목조 건축에서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얹는 부재)는 흔히 볼 수 있는 다포집 계통의 구조이나 그 세부에는 오래된 수법을 엿볼 수 있다. 출목(出目)은 내외 모두 2출목이며, 그 상단에 있는 살미 첨차[山彌檐遮; 기둥 위와 도리 사이를 장식하는 촛가지를 짜서 만든 부재로 삼포 이상의 집에 있는 꾸밈새로 초제공・이제공 따위의 가운데에 어긋나게 맞추어 짬]의 끝은 삼각형을 이루었다. 쇠서[牛舌; 전각의 기둥 위에 덧붙이는 소의 혀 모양으로 된 장식]의 곡선은 짧고 견실하며 내부에는 대들보를 받은 공포의 최선단 부분만이 양봉(樑奉; 기둥머리 또는 주두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의 형태로 변하였는데 이러한 세부 양식들은 거의 조선 중기 이전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특기 사항;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가운데 부분을 한층 높게 한 점이 특이하다.
•이야기(관룡사); 관룡사는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관룡산 남서쪽 화왕산(火旺山)에 있는 절이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신라 8대 사찰의 하나로 394년(신라 내물왕 39)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583년(진평왕 5) 증법(證法)이 중창하고 삼국 통일 후 원효가 중국 승려 1,000명에게 《화엄경》을 설법하여 대도량을 이루었다. 748년(경덕왕 7) 추담(秋潭)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 1401년(태종 원년)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건물이 소실되어, 1617년(광해군 9)에 영운(靈雲)이 재건하고, 1749년(영조 25)에 보수하였다. 이 사찰에는 대웅전(보물 212호)과 약사전(보물 146호)을 비롯하여 석조 여래좌상(보물 519호)과 약사전 3층 석탑(경남 유형문화재 11호),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보물 295호) 등이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 관룡사 석조 여래 좌상(觀龍寺 石造如來坐像) (0) | 2016.11.03 |
---|---|
[스크랩] 창녕 관룡사 약사전(觀龍寺 藥師殿) (0) | 2016.11.03 |
[스크랩] 석굴암의 옛 모습들 (0) | 2016.11.01 |
[스크랩] 창녕 송현동 마애 여래 좌상(松峴洞 磨崖如來坐像) (0) | 2016.10.30 |
[스크랩] 100년 전 불국사의 귀한 자료 사진 (0) | 2016.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