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인양사 조성비(仁陽寺 造成碑)
전면 비문
후면 승상
비각
승상
승상 근경
•지정 번호; 보물 227호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294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시대; 통일신라 헌덕왕 2년(810)
•분류; 석비
•내용; 창녕 인양사 조성비는 창녕읍 교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초의 절 조성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는 특수한 비석이다. 인양사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여러 절의 범종(梵鐘), 탑(塔), 불상(佛像), 금당(金堂), 요사(寮舍) 등의 조성 연대와 소요된 식량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는 석비(石碑)이다. 그것은 771년(통일신라 혜공왕 7) 인양사 종을 주조한 일로부터 이 비석을 세운 원화(元和) 5년, 즉 810년(헌덕왕 2)까지 40년간에 베풀어진 일의 내용이 담겨 있다.
인양사 조성비는 높이 1.58m, 너비 48㎝, 두께 18㎝, 재료는 화강석이다. 비는 직사각형의 지대석(地臺石; 바닥돌)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고 커다란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문(碑文)에 새겨진 글씨의 형태는 당시에 유행했던 해서체(楷書體)의 범주를 벗어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새로운 서체의 전개를 살필 수 있다. 귀부(龜趺;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와 이수(螭首; 머릿돌)를 생략하고 장방형의 대석과 옥개형(屋蓋形)의 개석(蓋石; 덮개돌)을 가진 이례적인 석비이다. 표면과 양쪽 측면에 각자(刻字)를 했는데 모두 해서이며, 뒷면에는 똑바로 선 승상(僧像)이 양각(陽刻)되어 있는데 이는 절의 조성에 관련된 당시의 고승을 기리기 위해 새긴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승상은 동자승의 애 띤 얼굴의 자비로운 모습이며, 인체를 모방한 부드러운 선이 8・9세기 조각 수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면에는 비석의 제목은 없이 ‘元和五年庚寅六月三日表何飡…(원화오년경인유월삼일표하찬…)’으로 시작되는 글이 새겨져 있는데 원화 5년은 비석을 세운 해로 810년(헌덕왕 2)에 해당한다. 한때 ‘탑금당 치성문 기비(塔金堂 治成文 記碑)’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졌었다.
•특기 사항; 당시 일반적인 비의 형태를 벗어나고, 지나치게 큰 옥개석이 원래의 것인지는 의심스럽지만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찰 조성을 기록한 비석으로서 특수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00년 전 불국사의 귀한 자료 사진 (0) | 2016.10.30 |
---|---|
[스크랩] 창녕 목마산성(牧馬山城) (0) | 2016.10.30 |
[스크랩] 창녕 술정리 서3층 석탑(述亭里 西三層石塔) (0) | 2016.10.26 |
[스크랩] 창녕 술정리 동3층 석탑(述亭里 東三層石塔) (0) | 2016.10.24 |
[스크랩]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新羅 眞興王 拓境碑) (0) | 2016.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