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술정리 동3층 석탑(述亭里 東三層石塔)
•지정 번호; 국보 34호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술정리 412-20)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통일신라 중기(8세기 중엽)
•분류; 석탑
•내용;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眞興王)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창녕 술정리 동3층 석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 석탑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이 탑을 동탑이라 한 것은 한 절의 구역 내에 쌍탑(雙塔)이 건립되어서가 아니라 같은 술정리 2㎞ 떨어진 서쪽에 또 하나의 술정리 3층 석탑(보물 520호)이 있기 때문이다.
술정리 동3층 석탑의 높이는 5.75m이다. 지대석(地臺石; 바닥돌)과 하층 기단 면석을 1석으로 하고, 하층 기단 갑석(甲石), 상층 기단 면석과 갑석은 모두 별석으로 하되 각 부를 여러 매의 석재로 구성하였다. 기단에는 상・하층 모두 각 면석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우주(隅柱; 탑 몸돌의 모서리에 세운 기둥)가 새겨져 있다. 탑신부는 옥신(屋身; 몸돌)과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이 각각 1석이며, 탑신 역시 옥신의 모서리마다 우주를 조각하였다. 옥개석은 수평을 이루던 처마가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가 간결한 모습이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상륜부는 전부 없어졌다. 본시 민가의 담 밑에 하층 기단 일부가 들어가 있었으나 1965년 12월 민가를 철거하여 보존 조치를 취하였을 때 석탑도 해체, 수리되었다. 3층 탑신 윗면의 사각형 사리공(舍利孔)에서 청동 개형 용기(蓋形容器), 담황색 유리제 사리병, 향편(香片), 작은 유리구슬 등이 발견되었다. 이때 지대석[바닥돌] 주위에 돌림돌을 놓았던 구조도 밝혀졌다.
•특기 사항;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적당한 비율로 줄어드는 옥신으로 인해 충분한 안정감과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세부적인 수법도 정교하여 불국사 3층 석탑(국보 21호)과 비길만한 기품이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신라 영역에 속해있던 창녕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볼 때 경주 중심의 탑 건립 경향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 인양사 조성비(仁陽寺 造成碑) (0) | 2016.10.26 |
---|---|
[스크랩] 창녕 술정리 서3층 석탑(述亭里 西三層石塔) (0) | 2016.10.26 |
[스크랩]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新羅 眞興王 拓境碑) (0) | 2016.10.22 |
[스크랩] 북한의 국보 18호(13) / 함흥 본궁(咸興本宮) (0) | 2016.10.13 |
[스크랩] 함양 벽송사 3층 석탑(碧松寺 三層石塔) (0) | 2016.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