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용산리 함안층(龍山里 咸安層) 새 발자국 화석 산지(化石産地)
근경
셰일층
연흔 및 새 발자국 화석
연흔 및 새 발자국 화석
새 발자국 화석
새 발자국 화석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222호
•소재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용산리 산4
•지정일; 1970년 4월 24일
•시대; 중생대
•분류; 고생물
•내용; 함안 용산리 함안층 새 발자국 화석 산지는 마산에서 북쪽으로 약 12㎞ 떨어진 함안군 칠원면 용산리에 분포하는데 중생대 백악기의 육성층인 함안층 상부에서 발견되었다.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곳에는 ‘함안한국새(Koreanaornis hamanensis)’라고 이름 붙여진 새 발자국과 진동새 발자국 및 초식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있다. 함안한국새의 발자국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진동새 발자국과 공룡 발자국은 예외적으로 발견되었다. 1억 4,400만 년 전에서 6,600만 년 전에 걸친 백악기에는 파충류인 공룡이 대번식을 한 시기였기 때문에 그들이 남긴 발자국 화석이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며 이들에 대한 연구 보고는 많으나,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일은 매우 희귀하다. 이렇게 새 발자국이 희귀한 것은 새의 조상인 시조새(Archaeopterix)가 지구상에 나타난 것이 중생대 중엽인 쥐라기(약 2억 년 전에서 1억 5천만 년 전 사이)였기 때문에 백악기에도 그리 많은 조류가 발전하지 않았을 것이고 또 발자국이 화석으로 남는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세계에서 새 발자국 화석이 처음으로 발견되어 이것이 학문적으로 발표된 것은 1931년의 일이다. 이것은 미국 콜로라도 주의 다고다층군에서 발견된 것이며, 이는 ‘이그노토르니스 맥고넬리(Ignotornis mcconnelli)’라고 명명되었으며 정식으로 기재 발표되었기 때문에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 지정 면적은 298㎡[약 91평]이다.
우리나라의 함안층에서 발견된 새 발자국 화석은 1969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구 발표된 것이다. 연구자는 김봉균 교수이며, 분류학적 속명은 ‘Koreanaornis’이고, 종명은 ‘hamanensis’로 국제적 인정을 받은 것이다. 이 학명은 ‘함안에서 발견된 한국의 새’란 뜻을 가진다. 그 후 1981년에 캐나다에서, 1986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1987년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1989년에는 미국 유타 주의 후기 백악기 지층에서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으나 그들 중에서 연구 명명된 것은 한두 건에 불과하다. 용산리 함안층 새 발자국 화석 산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당시에는 K. hamanensis 한 종만으로 알고 있었으나, 최근에 크기가 다른 신종 새 발자국 화석이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K. hamanensis와 Jindongensis는 공존하였던 것이다. 고성 덕명리 새 발자국 화석(천연기념물 411호)은 부근에서 발견되는 공룡 발자국 화석을 함께 포함한 함안층을 덮은 진동층(鎭東層)에서 발견된다. 이들 2종의 화석의 형태는 비슷하나 그 크기가 다르다. 용산리 함안층 새 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에서는 새 발자국 외에 많은 종류의 생흔 화석(生痕化石)과 퇴적 환경을 알려주는 퇴적 구조가 발견된다. 뚜렷한 생흔으로서는 벌레가 긴 자국인 선형동물 Cochlichnus와 소속을 알 수 없는 생흔과 2종류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산출된다. 현저한 퇴적 구조로서는 물결자국인 연흔(漣痕), 건조 기후임을 알려주는 건열(乾裂)과 우흔(雨痕)이 발견된다. 함안층에서는 이러한 흔적들이 적색 셰일(shale) 층에서 발견되나 진동층에서는 적색이 아닌 회갈색 셰일 내지는 사질 셰일 층에서 발견된다.
•특기 사항;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구, 발표된 것으로 새 발자국 화석의 희귀성은 물론 지질학적, 생물학적 자연사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 술정리 하씨 초가(述亭里 河氏 草家) (0) | 2016.07.15 |
---|---|
[스크랩]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新羅 眞興王 拓境碑) (0) | 2016.07.15 |
[스크랩] 함안 대산리 석조 3존상(大山里 石造三尊像) (0) | 2016.07.07 |
[스크랩] 함안 성산산성(城山山城) (0) | 2016.07.05 |
[스크랩] 함안 말이산 고분군(末伊山 古墳群) (0) | 2016.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