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대산리 석조 3존상(大山里 石造三尊像)
전경
오른쪽(향좌) 보살 입상
오른쪽(향좌) 보살 입상의 상반신
향좌 보살상의 상반신
오른쪽(향좌) 보살 입상의 하반신 및 대좌
3불상 중 중앙의 불좌상
중앙의 불좌상
왼쪽(향우) 보살 입상
왼쪽(향우) 보살 입상의 상반신
왼쪽(향우) 보살 입상의 하반신 및 대좌
•지정 번호; 보물 71호
•소재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대사골 1139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시대; 고려
•분류; 석불
•내용; 함안 대산리 석조 3존상은 함안군 가야읍에서 진동으로 가는 79번 국도에서 들어가는 함안면 대사골로 불리는 마을 앞 절터에 3구의 불상이 남아 있어서 하나의 석불군(石佛群)을 이루고 있다. 두 보살 입상(菩薩立像)은 다른 불상의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2구의 보살 입상은 손 모양만 다를 뿐 조각 수법이 거의 비슷하다.
대산리 석조 3존상의 크기는 왼쪽 보살이 151㎝, 오른쪽 보살이 162㎝, 왼쪽 불상이 86㎝이고, 재료는 화강암이다. 머리에는 두건(頭巾) 같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긴 타원형으로 가는 눈과 길고 납작한 코, 작은 입 등이 평판적으로 조각되었다. 우리나라 고유의 한복 같은 옷을 입고 있는데 두껍고 묵직하게 표현하였으며, 왼쪽 어깨의 매듭이나 무릎에서 시작된 동심 타원형의 옷 주름이 특징이다. 어깨의 매듭과 양 무릎에서 시작된 타원형의 옷 주름은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런 표현들은 고려시대 지방화 된 불상 양식에서 보여 지는 석조 보살상들의 특징이다. 왼쪽 보살상은 왼손에 정병(淨甁)을 들었고, 오른손은 배에 대고 있으며, 오른쪽 보살상은 오른손은 가슴에, 왼손은 배에 대고 외장 하였다. 보살상의 대좌(臺座)는 상대・하대로 나누어지는 2단으로 되어 있으며 둥근 상대에는 홑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하대는 위에 겹연꽃무늬를 장식하였으며 아래 8각의 단에는 각 면마다 귀꽃을 표현한 안상(眼象)을 조각하여 통일신라 초기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특기 사항; 두 보살 입상 사이의 약간 뒤에 놓인 머리가 없는 좌불상은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의 석질과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이 불상은 고려시대의 불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新羅 眞興王 拓境碑) (0) | 2016.07.15 |
---|---|
[스크랩] 함안 용산리 함안층(龍山里 咸安層) 새 발자국 화석 산지(化石産地) (0) | 2016.07.07 |
[스크랩] 함안 성산산성(城山山城) (0) | 2016.07.05 |
[스크랩] 함안 말이산 고분군(末伊山 古墳群) (0) | 2016.07.05 |
[스크랩] 의령 성황리(城隍里) 소나무 (0) | 2016.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