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입춘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을 해야 악을 면한다 내일(2월 4일)은 봄이 오고, 새해가 시작되는 입춘(立春)입니다. 이 입춘날 우리 겨레에겐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이란 세시풍속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꼭 해야 한 해 동안 액(厄)을 면한다고 믿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밤중에 몰래 냇물에 징검다리를 놓거나, 거.. 알아 둘 상식 2010.07.08
[스크랩] 한국음식에 담긴 철학사상 한국음식에 담긴 철학사상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정혜경 교수는 한국음식에 나타난 전통을 분석해 줍니다. 섞임의 미학 즉 공동체의식을 보여주는 ‘비빔밥’, 뜸들이기 과정의 극치인 화해의 음식 ‘탕평채(청포묵무침)’, 정성이 들어가 약이 되는 음식 ‘약고추장’, 식물성과 동물성의 조화.. 알아 둘 상식 2010.07.08
[스크랩]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 왕실의 호칭들, 조선의 요리서들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 왕실의 호칭들 역사 드라마를 보면 왕실에 여러 가지 호칭이 등장합니다. 같은 왕자라도 정실 왕비에게서 태어나면 대군, 후궁에게서 태어나면 군입니다. 또 왕비의 딸이면 공주, 후궁의 딸이면 옹주라고 부릅니다. 선조임금은 14명의 왕자가 있었지만 정비인 의인왕후에게선 .. 알아 둘 상식 2010.07.08
[스크랩] 두 뿌리 한 몸 소나무 두 뿌리 한 몸 소나무를 아시나요? 우리 조선 소나무 중에는 특이한 것들이 있습니다. 충북 괴산군 청천면 두우봉 기슭 '두 뿌리 한 몸' 의 소나무는 서로 다른 뿌리에서 자라난 두 나무가 높이 3미터 쯤에서 합쳐져 한 몸을 이루고 있습니다. 중부지방산림관리청 보호수 1997-5호로 높이 15미터, 둘레 1미.. 알아 둘 상식 2010.07.08
[스크랩] 요강과 매화틀 요강과 매화틀 옛날엔 뒷간이 실내가 아닌 바깥에 있어서 요강은 실내용 간이 화장실이었겠지요. 어렸을 때 귀신 이야기를 많이 들었던 우리는 요강을 가지러 마루에 나가는 일이 참 무서웠습니다. 요강은 놋쇠나 사기로 만들어졌으며, 신부의 혼수감으로 반드시 가지고 갈 물건이었습니다. 특히 혼례.. 알아 둘 상식 2010.07.07
[스크랩] 산고 겪는 아내를 위해 맷돌을 지는 남편 산고 겪는 아내를 위해 맷돌을 지는 남편 산모가 난산을 하면 예전엔 남편이 맷돌을 지고 마당을 돌았습니다. 해산의 고통을 겪는 아내와 고통을 함께 한다는 뜻입니다. 아내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남편의 사랑과 희생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한 환경운동가는 집에서 무공해세제가 .. 알아 둘 상식 2010.07.07
[스크랩] 현대 의학이 인정하는 ‘엄마 손은 약손’ 현대 의학이 인정하는 ‘엄마 손은 약손’ 어렸을 때 배가 아프면 어머니께서 “엄마 손은 약손, ~ 배는 똥배”라고 하시면서 배를 쓰다듬어 주셨고, 그러면 감쪽같이 배가 나았던 적이 있습니다. 많은 민간요법이 근거가 없다고도 하지만 이 ‘엄마 손은 약손’은 그 효과를 현대 의학에서도 인정합니.. 알아 둘 상식 2010.07.07
[스크랩] 조선 총독부의 조선 문화 말살 정책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가 조선을 완전한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가장 큰 노력을 기울 것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그것은 바로 문화말살입니다. 1936년 그들은 조선팔도에 전래하는 민속놀이를 조사하여 ‘조선의 향토오락’이라는 책을 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의 문화를 말살하려는 계획의 .. 알아 둘 상식 2010.07.07
[스크랩] 어제는 24절기의 마지막인 대한 어제는 24절기의 마지막인 대한 하루 늦게 알려드려 죄송합니다. 어제는 24절기의 마지막인 대한으로 절분(節分)이라 하여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겼습니다. 절분날 밤을 해넘이라 하여,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았고, 절분 다음날인 오늘은 정월절(正月節)인 입춘의 시작일로, 절.. 알아 둘 상식 2010.07.07
[스크랩] 동궐도 현재 서울에는 조선시대의 궁궐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경운궁)이 남아있지만 원래의 모습은 많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일본총독부가 조선의 정통성을 훼손하기 위해 파괴를 일삼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궁궐들의 모습은 동궐도에서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동궐도(東闕圖)’.. 알아 둘 상식 201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