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을 찾아서

[스크랩]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192) /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Mount Hamiguitan Range Wildlife Sanctuary)

문근영 2018. 10. 3. 04:45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192) /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

(Mount Hamiguitan Range Wildlife Sanctuary)







국가명 : 필리핀

등재 연도 : 2014

유산 면적 : 16,037

위치 : 필리핀 동민다나오


간략 개요 : ‘동민다나오 생물 다양성 회랑 지대(Eastern Mindanao Biodiversity Corridor)’의 남동부 지역에 위치하는 푸자다 반도(Pujada Peninsula)를 따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능선에서 형성된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Mount Hamiguitan Range Wildlife Sanctuary)’은 고도가 해발 75~1,637m 사이이며, 다양한 동식물종이 살고 있는 매우 중요한 서식지이다. 이 자연유산은 다양한 고도에서 발달한 지중 및 수중 서식지의 전시장으로서 멸종 위기종과 토착 동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 중 8종은 오직 하미구이탄 산에서만 발견된다. 이 중에는 매우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수목종, 식물종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하미구이탄 산의 상징적인 존재인 필리핀 독수리(Philippine eagle)와 필리핀 코카투(Philippine cockatoo; 앵무새의 일종)가 대표적이다.


정당성/가치 : 탁월한 보편적 가치 / ‘동민다나오 생물 다양성 회랑 지대의 남동부 지역에 위치한 푸자다 반도를 따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능선에 형성된 하미구이탄 산 야생 동물 보호 구역(Mount Hamiguitan Range Wildlife Sanctuary)’은 고도가 해발 75~1,637m 사이이며, 다양한 동식물종에게 매우 중요한 서식지이다. 이 자연유산은 고도에 따라 지극히 이질적인 토양 및 기후 조건 하에서 발달한 지중 및 수중 서식지이며 이러한 서식지에 살고 있는 매우 다양한 동식물종의 전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에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과 토착 동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 중 8종은 오직 하미구이탄 산에서만 발견된다. 이 중에는 매우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수목종, 식물종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필리핀 독수리와 필리핀 코카투가 대표적이다. 등재 기준 (x) :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은 필리핀의 중요한 생물 지리학적 지역 내에 있으며 완벽하고, 훼손되지 않아 지속 가능한, 지극히 다양한 산지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동식물종에는 세계적 멸종 위기종과 함께, 오직 필리핀에서만 발견되거나, 혹은 민다나오 지방에서만, 심지어 등재된 유산 내에서만 유일하게 발견되는 다수의 토착 고유종이 포함되어 있다. 무너지기 쉬운 열대 분재(盆栽)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의 정상 부분에서 발달하였고, 악조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한 자연의 분투를 요약해서 보여준다. 다소 격리된 입지와 이질적인 토양 및 기상 조건 하에서 발달한 다양한 서식지 유형 덕분에 생물다양성은 지극히 높은 수준의 고유성을 띠고 있고, 앞으로 보다 다양한 전 세계적인 차원의 고유종들이 이 지역에서 발견될 것이라고 많은 과학자들이 예상하고 있다. 유산의 경계 안에 있는 지중 생태계와 수중 생태계의 조화, 그 각각에서 서식하는 상당수의 종 덕분에,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341종의 필리핀 고유종을 포함하여 총 1,380종의 고향이다. 이 중에는 특히 매우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필리핀독수리(Pithecophaga jefferyi)와 필리핀코카투(Cacatua haematuropygia), 그리고 스호레아 폴리스페르마(Shorea polysperma; 붉은나왕) 및 스호레아 아스틸로사(Shorea astylosa) 등과 같은 나왕(羅王) 속에 속하는 수목 및 파피오페딜룸 속의 파피오페딜룸 아둑툼(Paphiopedilum adductum) 등과 같은 수목과 초본종이 포함되어 있다. 지극히 높은 수준의 토착종 비율은 양서류(75%가 토착종)와 파충류(84%가 토착종)의 비율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은 고도에 따라 뚜렷하게 상이한 여러 지중 서식 환경이 나타난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발달한 농경 생태계와 약간의 딥테로카르프(dipterocarp; 용뇌향과의 교목들) 산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나왕 속()의 수종과 같은 상당수의 토착종을 포함, 246종의 식물이 서식한다. 해발 420~920m 사이에서 발달한 딥테로카르프 산림 생태계의 특징은 거대 수종이며, 418종의 식물과 민다나오빨간가슴털비둘기(Mindanao Bleeding-heart; Gallicolumba crinigera), 필리핀워티피그(Philippine Warty Pig; Sus philippensis)와 같은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146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보다 높은 고도에서 발달한 산지 숲 생태계에서는 수많은 이끼류, 지의류, 착생(着生) 식물 등이 발견된다.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에서 발견되는 모든 동물 종 가운데 105종의 동물이 이곳에 서식하는데, 이 중에는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설치류 중 하나인 하미구이탄털꼬리쥐(Hamiguitan hairy-tailed rat; Batomys hamiguitan)도 포함된다. 네 번째 생태계 유형은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선태림(蘚苔林; mossy forest)으로서 식물의 뿌리와 줄기까지 두껍게 덮고 있는 이끼류가 특징이다. 필리핀피그미과일박쥐(Philippine Pygmy Fruit Bat; Haplonycteris fischeri)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뾰족주둥이나무개구리(Pointed-snouted tree frog; Philautus acutirostris)가 이곳에 서식한다. 산정 부분은(해발 1,160~1,200m)은 이끼-피그미 숲 생태계에 해당하며, 이 자연유산에서만 발견되는 고유한 천연 열대 분재림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네펜테스 하미귀타넨시스(Nepenthes hamiguitanensis; 벌레잡이풀)과 델리아스 마그사다나(Delias magsadana; 델리아스나비)의 유일한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완전성 / 이 자연유산은 실질적으로 거의 훼손되지 않았고, 생물 다양성과 천연 자원을 보존되기에 위하여 충분한 규모이다. 연구 결과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비교적 보존이 잘 되었고 훼손되지 않은 상태임이 계속해서 입증되고 있다.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은 생물 지리 지역 중 전형적인 산지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으며, 농업 생태계, 딥테로카르프 산림, 산지 생태계, 이끼 숲, 이끼-피그미 숲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속에는 토착종, 희귀종, 그리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동식물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군집이 서식하고 있다. 고도에 따라 상이하게 발달한 식생은 빽빽하여 하늘을 가린 숲이나 그렇지 않은 숲이 뒤섞인 지표면, 보다 규모가 작은 관목 지대와 함께 상대적으로 원시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중 및 수중 서식지는 잘 보존되어 있고, 수많은 세계적 멸종 위기종과 토착종이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에 의지하여 이곳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미구이탄 산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의 뚜렷한 수직의 식생 구획 및 이와 밀접하게 연관하여 발달한 서식지는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에 특히 취약할 수밖에 없다.

출처 : 댕견 그리고 우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