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代)가 살아 숨 쉬는 운림산방을 가다!
운림산방은 세계에서 유일한 일가 직계 4대의 화맥이
200여년 동안 이어지고 있는 대화맥의 산실이다.
조선 조 후기 남종화의 거봉이였던 소치(小痴) 허련(許鍊) 선생의 화실 당호로
'소허암' 또는 '운림각'이라고 불렀다.
소치 선생은 진도읍 쌍정리에서 출생하여 초명은 허유(許維)이고,
소치라는 아호는 스승인 秋史 선생께서 내려주었다.
소치 선생은 詩와 文을 동다송의 저자 초의대선사로부터 익히고
<세한도>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로부터 書와 畵를 전수받았다.
1857년 49세에 귀향하여 이곳에 운림산방을 세우고
소치 선생의 나이 85세 때인 1893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소치 특유의 문기가 드높은 불후의 작품들을 남겼다.
소치 선생이 그림을 그리던 화실 건물과 그 앞에 있는 운림지(雲林池)
운림지의 수련
소치 선생이 기거하던 생가(生家)
소치 기념관
기념관 입구
운림산방 화맥
초대 소치(小痴) 허련(許練; 1808~1893)
문인화를 중심으로 특유의 필치를 구사한 허련의 회화는 당대에도
추사 김정희로부터 '압록강 동쪽에 소치를 따를 만한 화가가 없다'거나
'소치 그림이 내 것보다 낫다'는 찬사를 들으면서 당시 화단을 풍미하였다.
허련은 조선 말기 한국의 남종 문인화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이를 근대로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였다.
<부춘산도(富春山圖)>
<추경 산수도(秋景山水圖)>
<阮堂先生 海天一笠像> <山水圖> <壽梅圖>
<운림각도(雲林閣圖)>
<묵죽도(墨竹圖)>
<매화도(梅花圖)>
2대 미산(米山) 허형(許瀅; 1861~1938)
허련의 네째인 막내로 태어난 허형은 어려서 천연두에 걸려 구사일생하였고,
뒤늦게 천부적인 그림 재주가 부친에게 드러나 장형 허은의 미산이라는 아호를 물려받아
2대의 화업을 계승하였으나 격동하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고난스런 화업의 길을 걸어왔다.
미산의 작품들은 묵모란. 묵송. 묵죽. 묵매 등 주로 묵화풍에서 두드러지며,
그 중에서도 묵모란과 묵매는 부친의 작품을
능가할 정도의 문기가 뛰어난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老梅圖> <米點山水圖>
3대 남농(南農) 허건(許楗; 1908~1987)
미산의 아들인 남농은 남종 회화 예술을 현대적 감각으로 승화시켜
남농 특유의 '신 남화'라는 새로운 화풍을 일구어낸 화가이다.
고향의 산야. 해촌. 산사 등의 향토적인 풍경들을
가문의 필법인 갈필법을 사용하여 많은 걸작들을 남겼으며,
특히 거친 선으로 빚어낸 소나무의 독특한 구성과 생동감 있는 강력한 필선은
어느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역작으로 전해지고 있다.
<금강산 보덕굴(金剛山普德窟)>
<秋江釣魚> <水連深竹>
3대 임인(林人) 허림(許林; 1917~1942)
미산의 막내아들이며 남농의 친동생인 임인은 부친이 타계한 후 일본으로 유학하여
천단화학교에 다니면서 모든 물상을 점으로 표현하는
'토점화'라는 독창적인 화법을 일구어냈다.
그러나 독학으로 이어진 유학 생활의 과로로 26세의 나이에 요절하였으나
그의 한스러운 예술혼은 아들 林田을 통해 피어나고 있다.
<메추리>
<木浦萬戶洞所見> <牧童>
4대 임전(林田) 허문(許文; 1941~ )
許文은 소치 선생의 증손이며 요절한 천재 화가 許林의 독자이다.
생후 11개월에 부친을 잃고 7세 때부터 백부인 南農 슬하에서 자랐으며,
홍익대학 미술학부를 졸업하였다.
그 후 꾸준한 노력과 집념으로 가문의 갈필법을 연구하면서
林田 특유의 이론을 접목시켜 수묵의 농담을 이용하여
화면 전체를 동적으로 전개시키는 '운무 산수화'라는 독창적인 화풍을 일구어 냈다.
이로써 林田은 애환으로 얼룩진 부친 林人의 예술 혼을 받들고
운림산방 4대의 화맥을 계승하였다.
<산운(山雲)>
<나이애가라 폭포> <飛瀑>
소치 기념관에서 읽은 글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0년전 수원, 2016년 수원 (0) | 2017.08.22 |
---|---|
[스크랩] 제주 납읍리 난대림(納邑里 暖帶林) (0) | 2017.08.22 |
[스크랩] 제주 어음리(於音里) 빌레못 동굴 (0) | 2017.08.21 |
[스크랩] 제주 비양도 호니토(飛楊島 hornito) (0) | 2017.08.21 |
[스크랩] 제주 한림 용암 동굴 지대(翰林 熔岩洞窟地帶)[소천굴, 황금굴, 협재굴(昭天窟, 黃金窟, 狹才窟)]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