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 쇠소깍
전경
쇠소깍 상류 효돈천 계곡 전경
쇠소깍 상류 효돈천 전경
쇠소깍 상류 효돈천 전경
쇠소깍 상류 효돈천 상류
쇠소깍 중간 기점에서 본 하류 방향
쇠소깍 중류에서 바라본 상류 방향
쇠소깍 중류에서 본 하류 방향
중, 하류에서 본 쇠소깍 전경
쇠소깍 하류 바닷가 입구에서 본 모습
하류 전망대에서 본 쇠소깍 전경
쇠소깍 하류 초입 기암괴석
효돈천 바위 위에서 본 쇠소깍 전경
효돈천 바위 위에서 본 쇠소깍 전경
효돈천 바위 상단에서 본 쇠소깍 전경
효돈천 상류에서 본 쇠소깍 전경
효돈천과 쇠소깍
쇠소깍 중간 지점의 동굴
카약 위에서 본 쇠소깍 상류
카약 위에서 본 쇠소깍의 아침
•지정 번호; 명승 78호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쇠소깍로 128 일원(하효동)
•지정일; 2011년 6월 30일
•분류; 자연 명승
•내용; 서귀포 쇠소깍은 한라산에서 서귀포시 하효동으로 흐르는 효돈천(孝敦川)의 담수(淡水)와 해수(海水)가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에 위치하고 있는 하천 지형이다, 깊은 수심의 못과 용암으로 이루어진 기암괴석·울창한 송림이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폭포 위의 상류 부분은 하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하천 지형이 매우 아름다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쇠소깍의 양안에는 솔잎란·파초일엽·담팔수 등 아열대성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위에는 조면암이 병풍을 두른 듯 서 있다. 암벽 위의 식생은 부분적으로 곰솔이 우세한 가운데 구실잣밤나무·담팔수나무·천선과나무 등이 많이 자라고 있으며, 나무줄기에는 모람이 착생해 있는 상록수림대가 형성되어 하안의 회백색 암벽과 잘 조화되고 있다. 용암이 흘러내려 굳어진 계곡은 지금도 거대한 용암 줄기가 흐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쇠소깍은 원래 소가 누워있는 형태라 하여 쇠둔이라는 지명이었는데 효돈천을 흐르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깊은 웅덩이를 만들고 있어 ‘쇠소깍’이라고 붙여졌으며, ‘쇠’는 ‘소’, ‘소’는 ‘웅덩이’, ‘깍’은 ‘끝’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기 사항; 효돈천을 따라 흘러 내려온 물은 소규모 폭포를 형성하기도 하며, 바다와 맞닿는 이곳에 이르면 지하수가 샘솟듯이 용천수로 솟구쳐 오른다. 지하수의 끝자락인 쇠소깍은 맑고 차가운 물을 토해내고, 이 물은 곧바로 바다로 이어져 해수가 된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西歸浦 正房瀑布) (0) | 2017.08.02 |
---|---|
[스크랩]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森島 芭蕉一葉 自生地) (0) | 2017.07.31 |
[스크랩] 순천 낙안읍성 (0) | 2017.07.31 |
[스크랩]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上孝洞 寒蘭 自生地) (0) | 2017.07.29 |
[스크랩] 한라산 백록담(漢拏山 白鹿潭) (0) | 2017.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