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屯馬里 壁畵古墳)
전경
전경
내부 전경
고분 내부 벽화
고분 내부 벽화
벽화 세부
•지정 번호; 사적 239호
•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둔마리 산 298-1
•지정일; 1974년 9월 5일
•시대; 고려시대
•분류; 고분
•내용; 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은 금귀봉(金貴峰)의 동남쪽으로 뻗어있는 산등성이에 자리 잡고 있는 무덤이다. 산등성이의 폭은 매우 좁아 겨우 1기의 무덤 정도만이 들어설 수 있는 너비이며, 양쪽 옆은 심한 경사를 이룬 깊은 계곡이어서 풍수 지리학상으로 좋은 자리이다. 근처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일반인들의 무덤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데, 발견 당시에는 파괴가 심하였으나 지금은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무덤 내부 구조는 상자형 쌍돌덧널로 먼저 땅을 판 후 판석으로 벽을 두르고 그 안에 덧널을 설치한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으로 서쪽에 있던 덧널에는 나무로 만든 널이 1개가 들어 있었으며 동쪽 돌덧널은 비어 있었다고 한다. 양쪽 돌덧널 모두 벽면에 회칠을 하고 흑·녹·갈색으로 인물을 그린 벽화가 있고, 동쪽 돌덧널의 동쪽 벽에는 선녀 6명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북쪽 벽에 글자가 희미하게 나타나 있다. 서쪽 돌덧널의 서쪽 벽에는 여자 2명, 남자 1명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벽화의 내용은 악기 연주 그림으로 붓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생기가 있으며, 불교의 사상이 중심이 되면서 또한 도교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특기 사항; 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은 개성 근처의 법당방(法堂坊)에서 발견된 벽화와 함께 몇 안 되는 가치 있는 고려 벽화 무덤이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31) / 일제 병기창으로 끌려갈 뻔한 보신각종(普信閣鍾) (0) | 2017.02.23 |
---|---|
[스크랩] 가야산 해인사 일원(伽倻山 海印寺 一圓) (0) | 2017.02.23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9) / 도둑맞은 관덕동 석탑(觀德洞 石塔)의 돌사자상 한 쌍 (0) | 2017.02.21 |
[스크랩] 거창 고견사 동종(古見寺 銅鍾) (0) | 2017.02.21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수난사>(28) / 굴불사(掘佛寺) 터 4면 석불(四面石佛)의 수난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