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인삼반가사유상 / 배우식
1
까만 어둠 헤집고 올라오는 꽃대 하나
인삼 꽃 피어나는 말간 소리 들린다.
그 끝을 무심히 따라가면 투명 창이 보인다.
2
한 사내가 꽃대 하나 밀어 올려 보낸 뒤
땅속에서 환하게 반가부좌 가만 튼다.
창문 안 들여다보는 내 눈에도 삼꽃 핀다.
무아경, 온몸에 흙물 쏟아져도 잔잔하다.
깊고 깊은 선정삼매 고요히 빠져있는
저 사내, 인삼반가사유상의 얼굴이 환하게 맑다.
3
홀연히 진박새가 날아들어 묵언 문다.
산 너머로 날아간 뒤 떠오르는 보름달,
그 사내 침묵의 사유가 만발하여 나도 환하다.
[당선소감]
신춘문예 당선! 전화기를 잡은 내 손에는 어느새 햇살이 가득 쥐어져 있었습니다. 내 마음 너무 환해 잠시 머뭇거리다 조심스럽게 한 발짝을 옮기며 잠깐 뒤를 돌아봅니다. 3년 전 우연히 서점에서 시조집 몇 권을 읽으면서 나는 약간의 제한된 틀 속에 자신을 구심점으로 모아 담는 현대시조의 매력에 빠져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날 밤 집으로 가는 길에는 달 같은 시조와 함께 환하게 걸었습니다. 접었다 일시에 날개를 펼치고 비상하는가 싶다가도 어느새 시행에 다시 앉아 날아오를 자세를 취하는 긴장과 절제의 시조는 내게 정말 매력덩어리였습니다. 꿈속에서조차도 여백의 미에 흠뻑 빠져있는 내 삶은 온통 시조뿐이었습니다. 시조만을 껴안고 살아온 지난 시간들, 오늘은 시조가 나를 껴안아줍니다. 이제 다시 한 발짝을 옮기며 고마우신 분들의 이름을 가만히 불러봅니다.
존경하는 문덕수 선생님과 따뜻하게 격려해주시는 김규화, 최은하 선생님, 시조의 세계로 맨 처음 이끌어주신 윤금초 선생님, 고맙습니다. 열정적으로 가르침을 주시는 감태준, 이승하, 박제천 선생님, 늘 응원해주시는 이동희, 김명배, 박숙희 선생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두 손 가득 환한 햇살을 쥐어주신 심사위원 이근배 선생님께 큰 절을 올립니다. 친구 송병록님, 변학섭님, 유경님, 그리고 격려해주신 모든 분들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이렇게 고마움을 전할 수 있어서 오늘, 참 기쁩니다. 이 기쁨을 아내 박영자님, 아들 현성, 현중과 함께 하고 싶습니다.
* 배우식: 1952년 충남 천안.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졸업.
[심사평]
오늘의 시조가 어디까지 왔는가는 신춘문예 응모작품들이 내비게이션으로 보여준다. 분명한 것은 시조가 앞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빨라지고 행렬이 늘어간다는 사실이다. 아직도 모국어의 경작을 꿈꾸는 천재들이 시조에 눈을 돌리거나 형식을 자기의 것으로 만드는 일에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지 않은 속에서 새 모습의 시조를 들고 나오는 신인을 만날 때 그 기쁨은 더하게 된다.
장은수씨의 ‘새의 지문’ 변경서씨의 ‘일몰 앞에서’ 배종도씨의 ‘천마도장니’ 배우식씨의 ‘인삼반가사유상’이 각각 새맛내기의 솜씨를 보인 작품들이었다. ‘새의 지문’은 암사동 선사유적지에 있는 빗살무늬토기에서 새 한 마리를 꺼내들고 시간과 공간을 누비고 있는데 그만큼 한 깊이와 무게를 채우는데 틈이 있었다. ‘일몰 앞에서’는 지는 해가 연출하는 스펙터클을 강렬한 채색으로 그리고 있으나 사람의 그림자가 깃들어 있지 않음이 걸렸다. ‘천마도장니’는 너무 사실(史實)에 매달려 더 넓은 시야를 갖지 못했음이 시를 가두었다.
당선작 ‘인삼반가사유상’은 오래 흙 속에서 사람의 모습을 하고 태어난 인삼뿌리에 생각을 입혀서 소리와 빛깔을 알맞게 구워내고 있다. 쉽게 찾아지지 않는 글감을 골라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사유를 명징한 이미지로 엮어내는 시적 기량이 믿음직스럽다. 앞으로 붓끝을 더 날 새워 시조의 틀을 새롭게 짜고 시상의 자유로움을 열어가기 바란다.
- 이근배·시인
'2022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 신춘문예 경상일보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
2009 신춘문예 국제신문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부산일보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매일신문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
2009 신춘문예 동아일보 시조 당선작 (0) | 200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