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일본 아스카 시대 유물, 대부분 한국 불교예술이다 일본 아스카 시대 유물, 대부분 한국 불교예술이다 [서평] ≪일본에 남은 한국미술≫, 존 카터 코벨 지음, 김유경 편역 ▲ 책 표지 ≪일본에 남은 한국미술≫ 책 표지, 존 카터 코벨 지음, 김유경 편역, 도서출판 글을 읽다 펴냄 ⓒ 글을 읽다 1985년 일본은 나라의 한 무덤, 곧 후지노키 고분.. 알아 둘 상식 2016.02.03
[스크랩] 고려시대 천문도, 조선시대 혜성 관측기록 보셨나요? 고려시대 천문도, 조선시대 혜성 관측기록 보셨나요? “한국 과학의 전통과 연세” 고문헌전시회 열려 ▲ 적어도 고려시대 이전 것으로 보이는 천문도(왼쪽), 건상열차분야지도 (오른쪽) ⓒ 연세대 학술정보원 고구려 고분벽화에 쌍삼성, 남두육성, 북두칠성 등이 그려진 것이 있을 정도.. 알아 둘 상식 2016.02.01
[스크랩] 아리수(한강) 진경을 보셨나요? 아리수 진경을 보셨나요?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국악칸타타 “2008 아리수 진경” 공연 열어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국악칸타타 “2008 아리수 진경” 공연 장면 ⓒ 김영조 서울시의 수돗물인 ‘아리수’가 중국 지진 피해 지역에 지원됐다고 한다. 서울시는 6월 5일 지진으로 식수난.. 알아 둘 상식 2016.01.30
[스크랩] 창극 “서동의 노래”, 서울에서 박수받다 창극 “서동의 노래”, 서울에서 박수받다 부여군충남국악단 가무악극 “서동의 노래” 공연 열려 ▲ 무대 중간에 샤막을 써서 환상적인 효과를 낸 "서동의 노래" 한 장면 ⓒ 김영조 제30대 임금(무왕)이 된 백제의 서동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민요 형식의 노래“서동요”를 모.. 알아 둘 상식 2016.01.25
[스크랩] 아름다운 한글, 세상을 빛내네! 아름다운 한글, 세상을 빛내네! 최초의 한글다자인 쇼핑몰 “티움” 문을 열다 ▲ 티움몰 대표 상품의 하나인 황후 한글 펌푸스힐과 황후 한글 토트백 ⓒ 산돌티움 세계 최고의 글자 한글, 그것은 세계 어떤 언어학자든, 배달겨레의 어떤 이든 세계 최고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 알아 둘 상식 2016.01.23
[스크랩] 대학 대동제, ‘사자머리대기’, ‘풍물굿’ 어우러지다 대학 대동제, ‘사자머리대기’, ‘풍물굿’ 어우러지다 경희대 풍물패연합 학생들의 우리 문화 한마당 ▲ 경희대 풍물패연합 학생들의 사자머리대기 모습 ⓒ 김영조 90년대 초 우리는 대학에서 활짝 핀 우리 문화를 보았었다. 어디를 가나 대학 대동제에서는 풍물굿이 흐드러졌고, 각종 .. 알아 둘 상식 2016.01.21
[스크랩] 영어로 국어·국사 수업, 한국어 말살정책 영어로 국어·국사 수업, 한국어 말살정책 [대담] 프랑스 교포 언어학박사 정고스란 씨 ▲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 김영조 5월 15일 오늘은 세종임금이 탄생한 날이다. 어제는 한국형리더십연구회와 세종국가경영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우리 안의 세종대왕, 한국형리더십을 찾아라!” .. 알아 둘 상식 2016.01.19
[스크랩] 옛 추억을 살려 아이와 함께 전통 모내기를 옛 추억을 살려 아이와 함께 전통 모내기를 현충사관리소, 제2회 전통모내기 체험 희망자 모집 ▲ 전통모내기 1 지난해 현충사관리소에서 한 전통모내기 장면 ⓒ 현충사관리소 50~70년대를 시골에서 보낸 사람들은 아련히 모내기의 추억을 떠올린다. 모내기란 못자리에서 기른 모를 논에 .. 알아 둘 상식 2016.01.17
[스크랩] 늙은 낚시꾼이 되고 싶다던 소원 / 박석무 373 늙은 낚시꾼이 되고 싶다던 소원 1799년 정월에 신서파(信西派), 즉 서양학문에 취할 점이 있는 부분은 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 당시의 진보적인 학자들의 훌륭한 후원자이던 번암 채제공(蔡濟恭)이 세상을 뜨면서, 그들의 반대파들인 공서파(攻西派)들의 목소리는 커지고 .. 알아 둘 상식 2016.01.15
[스크랩] 사할린 동포 어르신들, 어버이날에 따뜻한 위로 받아 사할린 동포 어르신들, 어버이날에 따뜻한 위로 받아 2008 어버이날 안산시 고향마을 어르신 한마당 잔치 열렸다. ▲ 어버이날 위안공연에 참석하신 고향마을 사할린 동포 어르신들 ⓒ 김영조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 풍파 사나운 바다를 건너 / 한 많은 남화.. 알아 둘 상식 2016.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