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스크랩] 2019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동시부문 당선작

문근영 2019. 1. 1. 22:13

매듭            오영록

 

 

오늘 학교에서 매듭 놀이를 배웠다

 

영철이와 한 조가 되어

팔자 매듭도 만들어보고

고리 매듭도 만들어보고

십자 매듭도 만들었다

 

함께 맸다가 풀었다가 하다 보니

가끔 영철이 손가락이

얽히고설키는 매듭처럼

내 손가락이 영철이 손가락을

휘감기도 했다

 

마음도 매듭 놀이를 했는지

집에 왔는데도 자꾸만 영철이가 생각난다

무슨 매듭인지 알 수없는

풀리지 않는 매듭 하나

생겼다.

 

완성도가 높고 시적 감성을 잘 살린 작품

 

매년 이맘때쯤이면 당선작을 뽑는 심사위원들도 응모자 못지않게 가슴 설렘을 안고 작품을 읽는다. '이번에는 어떤 작품들이 응모되었을까, 눈을 번쩍이게 하는 작품이 있을까'하는 기대를 가지면서 작품을 자세히 읽었다. 응모 편수는 지난해에 비해 조금 줄었지만, 작품 수준이 전반적으로 조금 높았고, 다양한 소재들의 작품이 많이 응모되어 잠시 기쁨도 가질 수 있었다. 예년에 많이 볼 수 있었던 자연의 모습이나 흔한 생활상의 소재들이 많이 줄어든 것도 하나의 특징이기도 하다.
 
심사위원 두 사람이 장시간에 걸쳐 작품을 읽고 1차로 12편을 골라내었다. 시가 갖춰야 될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는지, 동심(童心)을 제대로 담고 있는지, 소재와 표현기법이 새로운지를 생각하면서 고르게 되었다. 1차로 뽑힌 작품을 다시 자세히 읽고, 그 가운데 「그림이 있는 동네」(조수옥), 「나무 톡」(최 원), 「다리」(유선우), 「가을날」(박희정), 「매듭」(오영록) 등 다섯 편을 마지막으로 남겼다. 이 다섯 작품은 모두 완성도가 높아서 어느 작품을 당선작으로 올려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한 작품만을 뽑아야하기 때문에 각 작품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을 찾아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림이 있는 동네」는 사물의 이미지를 아주 자세히 그려낸 점이 돋보였으나, 조금 산문적인 표현이라 시적 함축미가 덜 느껴졌다. 「나무 톡」은 봄이 오는 정경을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것처럼 '톡'이라는 용어를 써서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그러나 표현은 새롭지만 내용이 새로운 것이 없어서 조금 아쉬웠다. 「다리」는 상황의 전개를 아주 재미있게 그려내었다. 앞부분은 엄마·아빠의 관계를 사실 그대로 나타내어 재미가 있었고, 뒷부분은 화자의 역할을 이쪽과 저쪽을 이어주는 '다리'의 이미지로 앞뒤 상황을 잘 이어나갔다. 그러나 이 작품도 완성도는 높았지만 소재의 참신함이 조금 미흡하지 않았나 싶다. 「가을날」은 이미지가 단순하고 시적 감성을 잘 살려내었으나, 전체적인 느낌이 조금 가볍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남은 작품은 「매듭」이다. 이 작품은 소재도 쉽게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지만, 시적 완성도가 높아 작품의 무게가 더 느껴졌다. 앞뒤의 연결도 자연스러웠지만 군더더기 없는 시인의 뛰어난 솜씨도 엿볼 수 있었다. 시 속에 담겨져 있는 화자의 생각도 시적 감성으로 잘 살려내고 있었으며, 함께 보내온 다른 작품들도 일정한 수준을 지니고 있어서 당선작으로 올리게 되었다. 당선을 축하하며 앞으로의 활동을 기대해 본다.
 
(출처 :  )

출처 : 문근영의 동시나무
글쓴이 : 희망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