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던 길 멈추고

[스크랩] 울주 청송사지 3층 석탑(靑松寺址 三層石塔)

문근영 2017. 5. 9. 08:09

울주 청송사지 3층 석탑(靑松寺址 三層石塔)



정면 전경


전경





측면 전경


상륜부


기단부와 탑신부


2층 기단부


지정 번호; 보물 382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 1420

지정일; 1963121

시대; 통일신라시대

분류; 석탑

내용; 울주 청송사지 3층 석탑은 남암산(南巖山) 아래에 있는 청송사 절터에 있는 3층 석탑이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각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기고, 마감돌 위에 다른 돌로 2단의 모난 괴임돌을 끼워서 각각 윗돌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이 특히 길고 크며, 2층 몸돌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각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이 있고, 추녀가 두꺼워 지붕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이 약하며 처마는 수평으로 길이가 짧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치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1962년 해체, 수리할 당시 위층 기단에서 동제 사리함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 청동 여래 입상 1구를 비롯하여 유리구슬 16, 수정으로 만든 곱은옥 1, 관옥 1점 등 30여 점이 발견되었다.

특기 사항; 청송사지 3층 석탑은 기단의 짜임새가 정연하지 못하고,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큰 반면 지붕돌이 작아서 좋은 비례로 보기 어려우나, 지방에 분포된 신라 석탑의 한 예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1층 몸돌의 괴임돌이 다른 돌로 되어 있는 점은 탑의 특이한 조형과 아울러 9세기 이후에 조성된 것을 짐작하게 한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