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반구대 암각화 전경
반구대 암각화 전경
반구대 암각화 전경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
세부 모습
세부 모습
세부 모습
세부 모습
•지정 번호; 국보 285호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85(대곡리 991)
•지정일; 1995년 6월 23일
•시대; 신석기 말기~청동기시대
•분류; 암각화
•내용;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높이 4m, 너비 10m의 ‘ㄱ’자 모양으로 꺾인 절벽 암반에 여러 가지 모양을 새긴 바위그림이다. 바위그림을 암각화라고도 하는데 암각화란 선사인들이 자신의 바램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커다란 바위 등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그림을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암각화는 북방 문화권과 관련된 유적으로 우리 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알려주는 자료이다.
1965년 완공된 사연 댐으로 인해 침수와 노출이 반복되고 있는 상태로 바위에는 육지 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 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빠진 모습과 새끼를 밴 호랑이의 모습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멧돼지는 교미하는 모습을 묘사하였고, 사슴은 새끼를 거느리거나 밴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바다고기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의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사냥하는 장면은 탈을 쓴 무당, 짐승을 사냥하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의 모습을 묘사하였으며, 그물이나 배의 모습도 표현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선사인들의 사냥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기원하며, 사냥감이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바위에 새긴 것이다.
•특기 사항;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조각기로 쪼아 윤곽선을 만들거나 전체를 떼어낸 기법, 쪼아낸 윤곽선을 갈아내는 기법의 사용으로 보아 신석기 말에서 청동기시대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과 점을 이용하여 동물과 사냥 장면을 생명력 있게 표현하고 사물의 특징을 실감나게 묘사한 미술 작품으로 사냥 미술인 동시에 종교 미술로서 선사시대 사람의 생활과 풍습을 알 수 있는 최고 걸작품으로 평가된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울주 망해사지 승탑(望海寺址 僧塔) (0) | 2017.05.11 |
---|---|
[스크랩] 울주 청송사지 3층 석탑(靑松寺址 三層石塔) (0) | 2017.05.09 |
[스크랩] 울주 언양 읍성(彦陽邑城) (0) | 2017.05.07 |
[스크랩] 울주 목도 상록수림(目島 常綠樹林) (0) | 2017.05.07 |
[스크랩] 울산 태화사지 12지상 사리탑(太和寺址 十二支像 舍利塔) (0) | 2017.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