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雙磎寺 眞鑑禪師塔碑)
전경
정면
정면
측면
측면
후면
후면
비문(전체)
비문
비문(부분)
이수
이수
이수
귀부
귀부
•지정 번호; 국보 47호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운수리 207) 지리산 쌍계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원년(887년)
•분류; 석비
•내용;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는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774∼850)의 탑비이다. 진감선사는 불교 음악인 범패(梵唄)를 도입하여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804년(통일신라 애장왕 5)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830년(흥덕왕 5)에 귀국하여 높은 도덕과 법력으로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받다가 77세의 나이로 쌍계사에서 입적하였다.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는 몸돌에 손상을 입긴 하였으나, 아래로는 거북받침돌을, 위로는 머릿돌을 고루 갖추고 있는 모습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탑비 양식에 따라 거북받침돌은 머리가 용머리로 꾸며져 있으며, 등에는 6각의 무늬가 가득 채워져 있다. 등 중앙에는 비 몸돌을 끼우도록 만든 비좌(碑座)가 큼지막하게 자리하고 있는데, 옆의 4면마다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직사각형의 몸돌은 여러 군데가 갈라져 있는 등 많이 손상된 상태이다. 머릿돌에는 구슬을 두고 다투는 용의 모습이 힘차게 표현되어 있고, 앞면 중앙에는 ‘海東故眞鑑禪師碑(해동고진감선사비)’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 꼭대기에는 솟은 연꽃무늬 위로 구슬모양의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특기 사항; 887년(진성여왕 원년)에 세워진 것으로 진감선사가 도를 닦던 옥천사(玉泉寺)를 ‘쌍계사’로 이름을 고친 후에 이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를 세웠다 한다. 당시의 대표적인 문인이었던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미상)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쓴 것으로 유명한데, 특히 붓의 자연스런 흐름을 살려 생동감 있게 표현한 글씨는 최치원의 명성을 다시금 되새기게 할 만큼 뛰어나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동 쌍계사 목조 석가여래 3불 좌상(雙磎寺 木造釋迦如來 三佛坐像) 및 4보살 입상(四菩薩 立像) (0) | 2016.12.13 |
---|---|
[스크랩] 하동 쌍계사 대웅전(雙磎寺 大雄殿) (0) | 2016.12.13 |
[스크랩] 하동 송림(河東松林) (0) | 2016.12.11 |
[스크랩] 남해 가인리 화석 산지(加仁里 化石産地) (0) | 2016.12.11 |
[스크랩] 남해 창선도(昌善島) 왕후박나무 (0) | 201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