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던 길 멈추고

[스크랩] 양산 통도사 봉발탑(通度寺 奉鉢塔)

문근영 2016. 8. 20. 00:45

양산 통도사 봉발탑(通度寺 奉鉢塔)






지정 번호; 보물 471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지산리 583) 영취산 통도사

지정일; 19681219

시대; 고려시대

분류;

내용; 영축산(靈鷲山)에 자리한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 사찰[불보 사찰(佛寶寺刹)인 통도사, 법보 사찰(法寶寺刹)인 해인사(海印寺), 승보 사찰(僧寶寺刹)인 송광사(松廣寺)] 가운데 하나인 불보 사찰이며, 646(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가 세운 절이다.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佛舍利; 석가모니불의 유골)와 승복(僧服)의 하나인 가사(袈裟),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大藏經)을 모시고 창건하였기 때문에 초창기부터 중요한 절이었다.

  양산 통도사 봉발탑은 통도사의 용화전(龍華殿) 앞에 서 있는 것으로 무슨 용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석가세존(釋迦世尊)의 옷과 밥그릇을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이어받을 것을 상징한 조형물인 것으로 여겨진다. 기본 형태는 받침부분 위에 뚜껑 있는 큰 밥그릇을 얹은 듯한 희귀한 모습이다. 받침부분의 돌은 아래·가운데·윗부분으로 구성되며 장고를 세워 놓은 듯한 모양이다. 받침돌 위에는 뚜껑과 높은 굽 받침이 있는 그릇 모양의 석조물이 있다.

특기 사항; 만들어진 연대는 연꽃조각과 받침부분의 기둥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로 추정되지만, 받침부분과 그릇 모양의 조각물과는 품격의 차이가 느껴지므로 동시대의 작품인지 의문을 갖게 된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