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의영혼

[스크랩] 인디언의 ‘피’로 얼룩진 美서부개척시대

문근영 2015. 12. 30. 07:49

인디언의 ‘피’로 얼룩진 美서부개척시대

【 피와 천둥의 시대 】 햄튼 사이즈 지음 홍한별 옮김 갈라파고스 펴냄

#1. 먼저 한 남자. 키트 카슨(1809~1868년). 미국 서부시대를 대표하는 영웅이다. 그는 켄터키주 개척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당시 서부는 알려진 대로 원주민인 인디언과의 접촉이 끊기지 않던 땅. 카슨의 마을 주변에도 여러 인디언 부족이 머물고 있었으며, 그는 자연스럽게 이들과 어울리며 자랐다. 누구보다 인디언을 잘 아는 그였지만, 서부원정대에 참가하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미국 역사가 기억하는 그는 ‘서부의 영웅’이었지만, 인디언들은 그를 ‘인디언 대학살자’로 기억한다.

#2. 인디언 부족인 나바호족. 뉴멕시코 지역에서 농사와 유목을 병행하며 살아가던 아메리카 인디언 최대의 부족이었다. 하지만 유럽인의 반갑지 않은 방문으로 이들의 생활은 달라졌다. 에스파냐와 멕시코에 이어 미국마저 자신들의 땅에 발을 들여놓자 결국 피할 수 없는 전쟁에 말려든다. 하지만 ‘천둥’과 같은 화포를 갖춘 미국 앞에서 나바호는 ‘피’를 흘리며 쓰러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나바호는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되며 걸었던 ‘나바호 먼 길’이란 비참한 흔적으로만 역사에 남았다.

미국의 역사는 ‘피의 역사’로도 불린다. 이라크 전쟁과 아프간 전쟁을 차치하더라도 미국은 그 서막에서부터 끊임없이 정복을 위한 전쟁을 벌여왔다. 이러한 핏자국 위에 세워진 ‘팍스 아메리카나’의 근원을 제시하는 ‘피와 천둥의 시대’(햄튼 사이즈 지음, 홍한별 옮김, 갈라파고스 펴냄)는 그 배경으로 19세기 서부를 선택했다.

‘프런티어 정신(the frontier)’과 인디언 학살, 또 인디언의 ‘피’와 미국 원정대의 ‘천둥’으로 상징되는 서부 개척 시대. 그 이야기의 중심에 키트 카슨과 나바호가 있다. 인디언의 친구였던 ‘산(山) 사나이’ 키트 카슨은 원정대에 참가하며 나바호 축출의 길잡이가 된다. 인디언을 너무 잘 아는 그였기에 활약은 두드러졌다. 하지만 그럴수록 나바호의 입지는 더 좁아졌으며, 결국 그들에게 남은 건 인디언 보호구역이라는 척박한 삶터뿐이었다.

3부로 구성된 책은 결코 얇지 않은 장정의 대부분을 이들 사이의 서글픈 투쟁 이야기로 채우며 19세기 서부를 관통하던 ‘시대의 광기’를 적시한다. 자서전에 “나는 인디언과 친구가 되기도 했고 사랑하기도 했다.”고 썼던 카슨이 ‘대학살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들, 그리고 그들 앞에서 나바호가 느꼈던 전례없던 집단 공포 등, 이 이야기가 전하는 서부개척시대는 비이성의 연속이다.

또 책은 인디언 학살뿐 아니라, 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 등 일련의 전쟁들을 꼼꼼히 정리한다. 그러면서 영광이란 이름 아래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파괴적인 광기와 전쟁의 비참함을 고발한다. 이야기는 치밀하고 방대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재구성됐다. 여러 인물의 목소리를 생생한 형태로 인용하며, 논픽션이지만 소설과 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영화로도 제작 중이다. 2만 8000원.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출처 : 어둠 속에 갇힌 불꽃
글쓴이 : 정중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