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복사지 3층 석탑(皇福寺址 三層石塔)
전경
탑신부
초층 탑신
기단부
기단
•지정 번호; 국보 37호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103 낭산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통일신라 효소왕 원년(692)
•분류; 석탑
•내용; 경주 황복사지 3층 석탑은 신라 신문왕(神文王)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孝昭王)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예전에는 ‘구황리 3층 석탑’이라 불렀다. 692년(통일신라 효소왕 원년)에 세워진 탑으로 이후 효소왕의 뒤를 이은 성덕왕(聖德王)이 즉위한 지 5년만인 706년(성덕왕 5)에 사리와 불상 등을 다시 탑 안에 넣어 앞의 두 왕의 명복을 빌고,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였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며, 감은사지 3층 석탑(국보 112호)이나 고선사지 3층 석탑(국보 38호)에 비해 작아진 규모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석탑 건축 수법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큰 의의가 있다. 즉 하층 기단면의 탱주(撑柱; 탑의 기단 면석 사이에 세우거나 면석에 양각한 기둥 모양)가 2개로 줄었고, 탑신부를 1석으로 짜 올려 작은 석재를 이용하는 수법에서 벗어났다. 이 석탑의 북쪽에 건물 터로 보이는 지역이 있고, 12지신상이 양각된 석재가 군데군데 박혀 있다.
황복사지 3층 석탑의 높이는 7.3m, 기단의 너비는 4.2m이다. 하층의 기단은 맨 아래의 지대석(地臺石; 바닥돌)과 그 위의 중석, 이를 덮은 갑석(甲石) 등인데 각각 8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상층의 기단은 기단 면이 8장, 그 위에 얹힌 갑석은 4장으로 짰고, 상・하층의 기단 면에는 각각 탱주(撑柱)를 둘씩 세웠다. 탑신부도 여러 개의 돌로 짜 맞추는 대신 옥신(屋身; 몸돌)과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어 달라진 석탑의 양식을 보여준다. 옥개석은 윗면이 평평하고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가 경쾌하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상륜부(相輪部)는 머리 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 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이 남아 있다. 1943년 탑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2층 옥개석 안에서 금동 사리함과 금동 불상 2구를 비롯하여 많은 유물을 발견하였다. 그 중 사리함 뚜껑 안쪽에 탑을 건립하게 된 경위와 발견된 유물의 성격이 기록되어 있어 탑의 건립 연대와 조성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특기 사항;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면서도 전기 석탑 양식의 변화 과정이 잘 담겨져 있으며, 건립 유래가 분명하고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점에서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야기; 황복사(皇福寺)는 낭산(사적 163호)에 있던 절로서 지금은 3층 석탑 하나가 남아있을 뿐이다. 황복사는 창건 연대가 확실치 않고, 더구나 현존 유물이 통일 후의 것이기 때문에 더욱 막연하다.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의 낙발처(落髮處)라는 기록이 사찰의 창건을 밝히는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의상은 625년(진평왕 47)에 탄생하여 20세에 출가했고 650년(진덕여왕 4), 스물여섯 살 때 도당(渡唐)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그가 스무 살 때 머리를 깎았다면, 황복사는 선덕여왕 때 이미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황복’이라는 절 이름이 보여주듯이 황실의 평안을 기원하는 목적에서 지어진 일종의 원찰이었을 가능성이 짙다. 의상이 이곳에서 스님이 되었다고 하나 그가 이곳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는 전혀 밝혀지지 않고 있다. 훗날 스님이 황복사에 있을 때 무리들과 함께 탑을 돌았는데 언제나 허공을 밟고 올라갔으며, 층계는 밟지 않았으므로 그 탑에는 돌층계를 놓지 않았다고 《삼국유사(三國遺事)》는 전하고 있다. 그 무리들도 층계에서 세 척(尺)이나 되어서 허공을 밟고 돌았으므로 의상은 그 무리들을 돌아다보면서 “세상 사람들이 이것을 보면 반드시 괴이하다 할 것이니, 세상에 교훈될 것이 못된다.”라고 하였다. 물론 지금의 탑은 그 의상이 탑돌이를 하던 탑은 아닐 것이다. 의상은 당나라로 건너가서 중국 화엄의 종조(宗祖)가 된 현수 법장(賢首法藏)과 함께 종남산(從南山) 지상사(至相寺)의 지엄화상(智嚴和尙)에게 배웠다. 화엄경의 미묘한 뜻과 은밀한 부분가지를 분석하였으며, 지엄은 학문을 서로 질의할 만한 사람을 반가이 맞아 새로운 이치를 전개해 나갔다고 한다. 그 당시 당나라에 머물고 있던 문무왕의 친동생 김인문(金仁問)은 당나라가 신라를 침공할 계획이 있음을 미리 알고 급히 의상으로 하여금 그 사실을 본국에 알리게 하였다. 의상은 곧 귀국 길에 올랐고, 사천왕사(四天王寺)의 창건으로 저들의 침략을 방어하였다. 귀국한지 6년 뒤에 왕명을 받들어 태백산(太白山)에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고 화엄학을 고국에 심기 시작하였다. 이로부터 그의 문하에서 수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으며 국내 열 곳에 절을 지어 화엄종을 전하였으니 이것은 신라 불교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일이었다. 즉 우리 불교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화엄학의 홍포가 의상으로부터 비롯되었던 것이다. 황복사 탑돌이에 얽힌 그의 일화는 아마도 그가 당나라에서 돌아와서 태백산을 중심으로 포교하기 이전의 일인 듯싶다. 자장법사(慈藏法師; 590~658)가 당나라에서 귀국해서 분황사(芬皇寺)에 머문 것처럼 그도 이곳 황복사에서 웅대한 꿈을 키우지 않았나 생각되는 것이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주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0) | 2015.06.02 |
---|---|
[스크랩] 경주 낭산 마애 보살 3존 좌상(狼山 磨崖菩薩 三尊坐像) (0) | 2015.05.31 |
[스크랩] 경주 낭산 마애 보살 3존 좌상(狼山 磨崖菩薩 三尊坐像) (0) | 2015.05.27 |
[스크랩] 경주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0) | 2015.05.25 |
[스크랩]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0) | 201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