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 담고 싶은 법정스님의 글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7)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임종게와 사리

문근영 2012. 5. 21. 07:54

 

 

 

 

 

한 생애를 막음하는 죽음은 엄숙하다. 저마다 홀로 맞이하는 죽음이므로 타인의 죽음을 모방하거나 흉내 낼 수 없다. 그만의 죽음이기 때문에 그만큼 엄숙하다.

일찍부터 선가에서는 '마지막 한 마디'(이를 임종게偈 또는 유게遺偈라고 한다)를 남기는 일이 죽음의 무슨 의례처럼 행해지고 있다. 그것은 대개 짧은 글 속에 살아온 햇수와 생사에 거리낌이 없는 심경을 말하고 있다.

바로 죽음에 이르러 가까운 제자들에게 직접 전하는 생애의 마지막 그 한 마디다. 따라서 죽기 전에 시작詩作을 하듯이 미리 써놓은 것은 유서일 수는 있어도 엄밀한 의미에서 임종게는 아니다.

타인의 죽음을 모방할 수 없듯이 마지막 남기는 그 한 마디도 남의 글을 흉내 낼 수 없다. 그의 한 생애가 그를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가장 그 자신다운 한 마디여야 한다.

13세기 송나라 조원祖元 스님은 이런 임종게를 남겼다.

부처니 중생이니 모두 다 헛것
실상을 찾는다면 눈에 든 티끌
내 사리 천지를 뒤덮었으니
식은 잴랑 아예 뒤지지 말라.

육조 스님의 제자인 남양의 혜충 국사가 죽으려고 할 때 마지막 유언을 듣고 싶어 하는 제자들을 꾸짖으면서 "내가 지금까지 너희들에게 말해 온 것이 모두 내 유언이다"라고 했다.

또 어떤 스님은 제자들이 임종게를 청하자, 임종게가 없으면 죽지 못한단 말이냐고 하면서 "지금까지 내가 해온 말이 곧 내 임종게다"라고 했다.

사리舍利란 범어에서 온 말인데 '불타고 남은 유골'을 뜻한다. 불자들이 화장을 하는 것은 아무것도 남기지 않기 위해서다. 본래 무일물을 그대로 보이는 소식이다.

고려 말 백운 경한 스님은 이렇게 읊었다.

사람이 칠십을 사는 일
예로부터 드문 일인데
일흔 일곱 해나 살다가
이제 떠난다

내 갈 길 툭 트였거니
어딘들 고향 아니랴
무엇 하러 상여를 만드는가
이대로 홀가분히 떠나는데

내 몸은 본래 없었고
마음 또한 머문 곳 없으니
태워서 흩어 버리고
시주의 땅을 차지하지 말라.

조주 스님은 세상을 뜨려고 할 때 제자들에게 당부했다.

"내가 세상을 뜨고 나면 불태워 버리고 사리 같은 걸 골라 거두지 말라. 선사의 제자는 세속인과 다르다. 더구나 이 몸뚱이는 헛것인데 사리가 무슨 소용이냐. 이런 짓은 당치 않다!"

 

 

 

 

출처 : 어둠 속에 갇힌 불꽃
글쓴이 : 정중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