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올라온 동화 작품은 모두 23편이었다. 한편 한편 작가의 땀과 정열이 느껴지는 귀한 작품이므로 읽고 또 읽으며 고심했다.
작가 지망생들이 쓴 글이기에 미숙하고 다듬어지지는 않았지만 장래에 얼마나 좋은 글을 쓸 수 있겠는가를 염두에 두었다. 글쓰기에 있어 몇 가지 언급하자면 책을 많이 읽고 습작을 많이 하라는 충고를 주고 싶다. 평범한 이야기지만 다독과 다작을 많이 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작품은 확연히 다르다. 거기에 사물을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고 생각하는 습관을 기른다면 글쓴이로서 독특한 색채를 갖게 될 것이다.
<부엉이와 나비>는 그런 점에서 가장 돋보인 작품이었다. 24시간 문을 여는 편의점 아저씨와 길고양이와의 따뜻한 이야기가 잔잔한 감동을 준다. 한 가지 조심스러운 점은 동화에서 사투리를 사용하는 문제다. 앞으로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끝까지 견주었던 <달리는 자전거>와 <금동이> 에게도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
동시 부문에 있어서는 보내온 여러 편 가운데에서 <호박>을 쓴 이의 동시 여러 편과 <손 머리 위로>를 쓴 이의 여러 편을 꼼꼼히 살펴 보았다. <호박> 을 쓴 이의 작품은 뛰어난 상상력이 돋보였으나 형상화하는 힘이 조금 모자란 느낌이었다. 조금만 더 차분히 손보았더라면 싶은 아쉬움이 들었다. <손 머리 위로>를 쓴 이의 동시의 장점은 활달한 상상력과 밋밋하지 않은 표현 등이 오랜 습작기를 거쳐온 듯 든든함과 신선함을 함께 주었다.
동화와 동시, 두 부문 가운데 어느 한쪽을 버릴 수 없이 탄탄한 이유도 있어서겠지만, 아동문학을 아껴 두 부문 모두 수상키로 결정해주신 경상일보 측에 깊고도 고마운 인사를 드린다.
이상교
|
|
|
▲ 이상교 |
■ 동시 심사위원
- 서울에서 태어나 강화에서 성장.
- 1973년 소년 잡지에 동시 추천 완료, 197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부문 입선, 1977년 조선일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부문 입선 및 당선.
- 한국동시문학회 4기 회장과 한국아동문학인협회 부회장 역임.
- 지은 책으로 동화집 <댕기 땡기>, <처음 받은 상장> 등이 있고, 동시집으로는 <좀이 수신다>, <먼지야, 자니?> 등이 있음. 그림책으로는 <도깨비와 범벅장수>, <난 떠돌이개야>, <방귀쟁이 며느리>등이 있음.
- 세종아동문학상과 한국출판문화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