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궁리 5층 석탑 (왕궁리 5층석탑 )
국보 제289호
馬韓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km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층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에 해체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부는 네 모서리에 8角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여 올려 木造塔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이 팔각기둥과 네모난 돌들 사이는 흙을 다져서 메웠는데, 이 속에서 백제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발굴 작업 중에 기단 각 면의 중앙에 2개씩 기둥조각을 새긴 것이 드러났으며, 탑의 1층 지붕돌 가운데와 탑의 중심 기둥을 받치는 주춧돌에서 사리장치(舍利藏値)가 발견되었다.
1층부터 5층까지 탑신부 몸돌의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1층 몸돌에는 다시 면의 중앙에 2개씩 기둥모양을 조각했다. 지붕돌은 얇고 밑은 반듯하나, 네 귀퉁이에서 가볍게 위로 치켜 올려져 있으며, 방울을 달았던 구멍이 ?려있다.
각 층 지붕돌의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해 다른 돌을 끼워 놓았다. 5층 지붕돌 위의 머리장식으로는 노반(露盤 .. 머리장식의 받침), 복발(覆鉢 .. 엎어 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 .. 솟은 연꽃 모양의 장식)와 깨어진 보륜(寶輪 .. 바퀴모양의 장식)이 남아있다.
지붕돌이 얇고 넓어 빗물을 받는 낙수면(落水面)이 평평한 점이나, 탑신부 1층의 지붕돌이 기단보다 넓은 점 등 백제 석탑의 양식의 일부를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언제 제작되었는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었으나, 1965년 해체,보수작업 시, 기단의구성양식과 기단의 안에서 발견된 사리장치의 양식이 밝혀지면서 그 시기가 비교적 뚜렷히 밝혀졌다. 즉, 백제의 옛 영토안에서 고려시대까지 유행하던 백제계 석탑양식에 신라탑의 양식이 일부 어우러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석탑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유물들은 국보 제123호로 일괄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최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발굴 과정에서 지금의 석탑에 앞서 목탑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이 탑의 밑부분에서 발견되어 다시금 주목을 끌고 있다.
출토 유물
1965년, 오층석탑을 보수하기 위하여 탑을 해체하면서 탑을 받치고 있던 기단부와 1층 지붕돌 윗면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기단부 윗면에 品자형으로 뚫린 3개의 구멍 중, 동쪽에서는 광배와 대좌를 갖추고 있는 청동여래입상 1구와 불교의식 때 흔들며 소리를 내던 청동요령 1개가 나왔고, 북쪽 구멍에서는 향류(香類)가 , 또 다른 구멍은 이미 도굴된 상태이었다.
1층 지붕돌 윗면 중앙에 뚫려있는 2개의 구멍에서는 각각 연꽃 봉오리모양의 마개가 덮혀있는 녹색의 유리사리병과 금강경의 내용을 19장의 금판에 새긴 다음 접어서 금줄로 묶은 순금금강경판이 있었다.
이 유물들은 모두 2중으로 된 상자(盒)안에 안전하게 들어 있었다. 바깥쪽의 외합은 단순히 내합과 유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으로 장식도 없고 칠도 벗겨져 있다. 녹색의 사리병이 들어 있었던 내합은 뚜껑 윗면에 반쯤 핀 연꽃 봉오리와 주변에는 구슬무늬를 새겨 넣았고, 금강경판이 들어 있던 내합은 뚜껑 윗면에 손잡이로 금고리를 달고 국화문양을 새긴 것으로 모두 도금상태가 완전하다. 이 유물들은 정교하고 우수한 백제시대의 공예품일 뿐만 아니라 그동안 의견이 분분했던 오층석탑의 시기를 밝혀주는 사료로서도 가치가 크다고 한다.
1. 유리제사리병 琉璃製舍利甁 ... 국보 제133-2호
이 사리병은 銀으로 만든 사방좌 위에 연결된 앙련(仰蓮) 사리병좌(舍利甁座) 위에 놓이게 마련되어 있고, 고운 초록색 유리로 만든 사리병의 날씬한 긴 목에는 순금으로 만든 연꽃 봉오리 모양의 마개가 꽂혀 있어서 각 부 비례의 적정한 눈맛이 이만저만 세련된 것이 아니다.
초록색 유리 사리병은 불과 아기들의 새끼 손가락 정도의 크기 (높이 7.7cm)이면서도 바라보고 있으면 고려청자의 큰 장경병(長頸甁)이 지닌 맵시와 아름다움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이 것이 이렇게 작은 물건이라는 생각을 잊게 해준다.
말하자면 꼭 필요한 기교와 장식만이 집약되어서 간결하게 처리되어 있는 점으로 이 사리장치가 지니는 공예미의 본성을 높이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본성은 단순미에 장점을 둔 우리 공예 전통의 본 구도 위에 서있음을 알 수 있다.
호사스럽고 다양해야만 정성이 들었다거나 또 아름다움의 속된 솜씨가 아니라 목욕재계하고 기도하면서 만든 청순한 아름다움이 이것을 지배하고 있다는 말이 될 수도 있다.
불타에 바치는 찬양이 사무치고 맺혀서 이루어진 사리장치, 말하자면 석가모니의 분신을 모시기 위한 불도들의 온갖 정성이 응결된 거룩한 조형이 바로 사리장치가 지닌 아름다움이며 또 눈으로 느끼는 찬가와도 같은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2. 금제방합 금제방합 ... 국보 제123-3호
이 사리방합은 찬연한 금색을 내고 있어서 사리병좌의 초록색과 함께 은색, 황금색 등 색상의 조화가 주는 효과가 매우 인상적이다.
방합의 사면과 네모 지붕 모양의 뚜껑 표면에는 빈틈이 없다. 크고 작은 원권문(圓勸文)을 찍어서 장식하고, 합의 사면 중심부에는 초문(草文)과 불교적인 화염문(火焰文)이 혼성된 좌우대칭적인 화문이 찍혀 있어서 이 무늬가 지니는 품격이 보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이래로 우리나라 불교의 사리장치에 나타난 공예가 매우 세련되었음은 다른 여러 예에서 알 수 있으나 이 사리장치처럼 조형의 기본 의장이 별격으로 세련된 작품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기교적으로 보나 장식의장으로 보나 이렇게 간고하면서도 고도의 세련을 보인 예는 드물다.
순금금강경판 純金金剛經板 ... 국보 123-1호
대형 화장실
이 곳 백제의 왕궁터에서 발견된 화장실의 모형이다. 현대의 수세식 화장실의 원리로 만들어진 대형 화장실의 구조이다.
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면 경사진 긴 수로(水路)를 따라서 용변이 흘러나가, 물이 흐르는 큰 배소로로 흘러 들어가게 만든 것으로, 화장실은 좁고 긴 수로를 통하여 석축 배수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3基가 발견되었다.
규모은 길이 10m 내외, 너비 1.8m 높이 2.8m 정도이며, 내부에서는 다량의 회충알이 발견되었으며, 20cm정도의 용변 후 종이대신 사용되었던 뒷처리용 막대가 다수 발견되었다.
금제방합 金製方盒 ... 국보 제123-3호
'문화유산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500년전 역사 고스란히 부활 (0) | 2010.07.17 |
---|---|
[스크랩] 불명산 화암사(花巖寺)...잘 늙은 절 집 (0) | 2010.07.17 |
[스크랩] 개암사 (開巖寺) .. 백제 부활의 마지막 저항 (0) | 2010.07.17 |
[스크랩] 청룡사 (靑龍寺) .. 부자연의 아름다움 그리고 남사당의 고향 (0) | 2010.07.16 |
[스크랩] 석남사 (石南寺) ..안성 (0) | 201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