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전 앞의 드므와 부간주 이야기
조선 궁궐 중 하나인 창덕궁의 중심건물은 인정전인데 순조 4년(1804)에 다시 지은
것입니다. 그 인정전 앞에는 ‘드므’와 ‘부간주’라는 것이 있습니다. ‘마음으로
읽는 궁궐이야기’(윤돌, 이비락)에서는 ‘드므’와 ‘부간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부간주’는 액운을 막아준다 하여 상징적으로 놓아둔 것인데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먹기도 한 것입니다. 또 ‘드므’는 화재를 막기 위해 물을 담아
상징적으로 놓아둔 것인데 화마가 왔다가 드므에 비친 자신을 모습을 보고 놀라서
도망간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조선 궁궐 중 하나인 창덕궁의 중심건물은 인정전인데 순조 4년(1804)에 다시 지은
것입니다. 그 인정전 앞에는 ‘드므’와 ‘부간주’라는 것이 있습니다. ‘마음으로
읽는 궁궐이야기’(윤돌, 이비락)에서는 ‘드므’와 ‘부간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부간주’는 액운을 막아준다 하여 상징적으로 놓아둔 것인데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먹기도 한 것입니다. 또 ‘드므’는 화재를 막기 위해 물을 담아
상징적으로 놓아둔 것인데 화마가 왔다가 드므에 비친 자신을 모습을 보고 놀라서
도망간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사람들은 대개 문화유적을 볼 때 그 주된 유적이나 유물만 봅니다. 하지만, 이런 주변의
물건들도 살펴보면 훨씬 재미도 있고, 그 유적과 유물의 의미를 더 깊이 알 수가
있습니다. 현재 창덕궁의 관람은 안내자와 정해진 길에 따라 안내를 받아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틈틈이 이런 것들도 살펴보면 좋을 것입니다.
출처 : 혜암아동문학회
글쓴이 : 혜암 원글보기
메모 :
'알아 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옛 선비들, 백제를 구다라 (0) | 2010.07.03 |
---|---|
[스크랩] 한복의 진동은 직선이어야 합니다. (0) | 2010.07.03 |
[스크랩] 자식을 유학 보낼 땐 한반도 문화답사 먼저 (0) | 2010.07.03 |
[스크랩] 고려에서는 청자, 조선에서는 백자가 발달한 까닭 (0) | 2010.07.03 |
[스크랩] 골무, 솔개그늘 (0) | 201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