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사전·보고서’ 없는 공공도서관 ‘친일 사전·보고서’ 없는 공공도서관 황경상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ㆍ서울 62곳 중 두 자료 동시 소장 2곳뿐 ㆍ‘친일파를 위한 변명’은 19곳이나 소장 지난해 11월 발간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규명위)의 최종 보고서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이 서울시내 공공도서관에.. 인디언의영혼 2010.06.08
안중근 의사, 이제 '장군'으로 불러야 "이 추모미사는 안중근 의사의 가톨릭 신자 신분 공식 확인하는 자리" -정진석 추기경, 명동성당에서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미사 봉헌해 -뮈텔 주교 입장, "교회와 사제, 안중근 모두를 돌보는 방법이었다" 2010년 03월 28일 (일) 21:21:03 고동주 기자 kobio@hanmail.net ▲ 사진출처/서울대교구 문화홍보.. 인디언의영혼 2010.06.07
안중근을 배신한 교회, 참회 없이 칭송만.. 안중근을 배신한 교회, 참회 없이 칭송만.. -3월 26일 명동성당에서 안중근 순국 100주년 기념미사를 기다리며 2010년 03월 23일 (화) 13:03:24 한상봉 isihan@nahnews.net ▲ 안중근 엽서한국천주교회 안에서 안중근 의사의 바람이 불고 있다. 서울대교구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진석 추기경 주례로 오는 3월 26일 오.. 인디언의영혼 2010.06.05
[기사] "안중근 유족을 가난과 탄압에 가둔 ‘친일파’ 대한민국 안중근 유족을 가난과 탄압에 가둔 ‘친일파’ 대한민국 안중근 의사 집안은 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날 명문가다. 독립운동을 한 사람이 40명이 넘고, 독립유공자 훈장을 탄 사람도 10명이 넘는다. 안 의사의 업적과 가문이 빛난 만큼 가족의 어려움은 컸다. 그림자도 짙었다. 안중근 의사(1879~1910)의 유언.. 인디언의영혼 2010.06.03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대구대교구 추모미사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대구대교구 추모미사 2010.03.31 26일 오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천주교 대구대교구 조환길 주교 주례로 '안중근 토마스 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미사'를 봉헌했다. 손영준 특약기자 인디언의영혼 2010.05.31
[기사] 안중근 유족을 가난과 탄압에 가둔 ‘친일파’ 대한민국 안중근 의사 집안은 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날 명문가다. 독립운동을 한 사람이 40명이 넘고, 독립유공자 훈장을 탄 사람도 10명이 넘는다. 안 의사의 업적과 가문이 빛난 만큼 가족의 어려움은 컸다. 그림자도 짙었다. 안중근 의사(1879~1910)의 유언을 받았던 동생인 정근(1885~1949)과 공근(1889~1940)도 독립운.. 인디언의영혼 2010.05.28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기념미사에서 추모시를 낭송하다 ▲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기념미사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을 기념하는 천주교 대전교구 차원의 추모미사가 26일 오전 10시 30분 대전현충원 현충관에서 교구장 유흥식 라자로 주교 주례로 봉헌되었다. ⓒ 지요하 안중근 100주기 천주교 대전교구는 26일 오전 10시 30분 대전 현충원 현충관에서 교구.. 인디언의영혼 2010.05.27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을 기억함> 임영준의 시 '안중근, 나의 대통령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을 기억함> 임영준의 시 '안중근, 나의 대통령' 순국의 순간에도 오로지 나라를 위한 일념으로 비열한 배반의 땅에 숭고한 밀알을 심었다 청춘의 울혈을 무릅쓰고 학교를 세워 인재양성에 뜻을 두었고 기울어진 국운을 되살리기 위해 의병에 앞장섰고 애국사상을 고취시.. 인디언의영혼 2010.05.26
역사 속 인물들에게 편지를 띄우세요 역사 속 인물들에게 편지를 띄우세요 임정출범, 3·1운동 100돌 맞는 2019년까지 네이버 카페·인터넷 한겨레 통해 참여 가능 김경애 기자 » 김자동(사진 앞쪽) 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김선현(50·사진 뒷쪽·오토 대표)씨. ‘100년 편지’ 사업 펼치는 임시정부 기념사업회 2010년 4월13일 서울에서 살고 .. 인디언의영혼 2010.05.25
간디 - 무저항, 비폭력 평화주의를 ◈ 간디1(Gandhi, Mohandas Karamchand) 1869∼1948 인도 민족 운동의 지도자·사상가. ‘마하트마(위대한 혼, 큰 성인)’라는 존칭으로 불리는 인도 건국의 아버지이다. 영국의 지배를 받던 포르반다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유능한 행정가였고, 어머니는 비폭력을 중시하고 도덕적으로 매우 엄격한 종교를 믿.. 인디언의영혼 201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