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 외돌개
전경
외돌개(좌) 일대와 섶섬(중앙), 문섬(우측)
외돌개 일대와 범섬 전경
외돌개와 범섬
외돌개 우측면
절벽 위에서 본 외돌개 후면
우측 절벽 위에서 본 외돌개
석양 무렵의 외돌개 전경
석양의 외돌개 일대와 범섬
석양의 외돌개와 범섬
•지정 번호; 명승 79호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 791
•지정일; 2011년 6월 30일
•분류; 자연 명승
•내용; 서귀포 외돌개의 높이는 20여m, 폭은 7~10m로 화산이 폭발하여 분출된 용암 지대에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돌기둥이다. 아울러 수직의 해식 절벽이 발달한 주변 해안과 해식 동굴이 함께 어우러져 특이한 해안 절경을 연출하는 명승지이다. 외돌개는 서귀포 시내에서 서쪽으로 2㎞ 떨어진 삼매봉(三梅峰) 자락의 수직 암벽으로 이루어진 해안에 우뚝 서 있다. 용암이 쌓인 지대에 해수의 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돌기둥으로 절벽 기암인 외돌개에는 몇 그루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외돌개’라는 이름은 바다 한복판에 바위가 홀로 우뚝 솟아있다고 붙어진 이름이다.
외돌개 주변 해안은 해수의 침식 작용으로 수직의 해식 절벽이 발달하고 해안선이 구불구불하다. 외돌개에는 정상부에만 식생이 형성되어 있는데 해안 쪽에는 곰솔과 보리밥나무가 자라고 있고, 바다 쪽으로는 단자엽류(單子葉類)와 산형과(傘形科) 식물이 초지 식생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변의 해안가에는 오래된 곰솔 군락이 넓게 해안을 따라 발달해 있고, 하층에서는 아왜나무·보리밥나무·통탈목(通脫木)·광나무·동백나무·꽝꽝나무 등이 자라며, 칡이 넓게 번성하고 있다. 서쪽에는 넓은 잔디밭도 조성되어 있다.
•특기 사항; 배경으로 보이는 범섬에 석양이 어릴 때 외돌개에서 바라보는 경관은 대단히 장엄하다. 외돌개가 위치하고 있는 삼매봉 공원은 1974년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334,070㎡로서 주변에는 시민 체육 시설과 함께 도서관·미술관 등의 시설이 있다.
•이야기; 고려 말기 탐라(耽羅; 제주도)에 살던 몽골 족의 목자(牧子)들은 고려에서 중국 명(明)에 제주마(濟州馬; 천연기념물 347호)를 보내기 위해 말을 징집하는 일을 자주 행하였는데, 이에 반발하여 목호(牧胡)의 난을 일어났다. 최영(崔瑩; 1316∼1388) 장군은 범섬으로 도망간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외돌개를 장군의 형상으로 치장시켜 놓고 최후의 격전을 벌였는데, 목자들은 외돌개를 대장군으로 알고 놀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로는 바다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할아버지를 기다리던 할머니가 돌로 굳어 외돌개가 되었다는 할망바위 전설이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 산지(西歸浦層 貝類化石 産地) (0) | 2017.08.04 |
---|---|
[스크랩] 밀양 얼음골, 여름철 고드름 (0) | 2017.08.04 |
[스크랩] 문섬·범섬 천연 보호 구역(文島·虎島 天然保護區域) (0) | 2017.08.02 |
[스크랩]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西歸浦 正房瀑布) (0) | 2017.08.02 |
[스크랩]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森島 芭蕉一葉 自生地) (0) | 2017.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