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읍성(河東邑城)
전경
전경(붉은선은 성곽의 선형임)
성벽
동문지와 북문지 중간 지점에서 북문지로 연결되는 성벽
서문지 옹성 밖에 쌓여진 해자, 양마장
서문지 문의 받침돌
성벽, 해자, 양마장(서문지 옹성에서 남문지 20M 지점)
남문지에서 동문지로 연결되는 해자, 양마장
북서쪽 치, 해자, 양마장
북서쪽 치에서 서문지로 연결되는 성벽
북문지에서 서문지로 연결 부분에 남아있는 성벽, 해자, 양마장
북문지에서 서문지로 연결되는 성벽과 치
성벽의 돌에 새겨진 문양(북문지에서 북서 방향으로 20M 지점)
기와편에 새겨진 명문
•지정 번호; 사적 453호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산151 외
•지정일; 2004년 5월 31일
•시대; 조선 태종 17년(1417)
•분류; 성곽
•내용; 하동 읍성은 1417년(태종 17)에 축성된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연해 읍성(沿海邑城)의 하나로서 일명 고현성(古縣城)이라 하며, 해발 149m의 양경산(陽慶山)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전기 산상(山上)에 축조된 산성에 가까운 포곡식(包谷式) 석축성이다. 그 구조나 축조 수법이 조선 전기 연해 읍성과 관방성의 축조 수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평지성(平地城)과 평산성(平山城)과는 달리 산성에 가깝고 축성신도(築城新圖) 반포 이전에 초축된 성에서부터 세종(世宗) 연간과 그 이후에 이르는 시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축성 양식을 단일 성곽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성사적 중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하동 읍성이 위치한 고전면 고하리는 삼한시대의 변한 12국 중 낙노국(樂奴國)에 속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가야에 속하여 대외 교섭상의 위치에 있어 백제와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곳이기도 하다. 가야가 멸망하고 백제의 세력권에 들면서 다사성(多沙城)이라 하였으며, 신라 통일 후 한다사군(韓多沙郡)이라 하여 읍기(邑基)를 고하에 둔 이래 고려·조선조에 걸쳐 읍기였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군대에 의해 성이 함락되어 객사, 관아, 향교 등이 불타버려 1661년(현종 2)에 횡포촌 내기동으로 관아를 이전하였다. 1667년(현종 8)에 다시 성내로 관아를 이전하기도 하였으나, 1703년(숙종 29) 진답면 우동(비파리 우치동)으로 이읍(移邑)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둘레 1,019척, 높이 13척으로 성 안에 우물 5개, 연못 1개가 있었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여장(女牆; 성곽에서 몸을 숨기기 위해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의 높이가 3척, 적대(敵臺)가 11개, 원아축 4문, 옹성(甕城; 성문 밖에 반원형이나 삼각형으로 축성된 작은 성)이 3개로 성은 높으나 협소하여 전시에 방비하기가 힘들다’고 적고 있다. 문종(文宗) 연간의 기록을 보면 ‘주위가 2,943척, 높이가 평지는 8척, 높고 험한 곳은 7척이며, 여장의 높이는 3척이고, 적대가 11개소로 이미 쌓은 것이 4개소이며, 문이 3개소에 옹성이 있고, 여장이 588개이고, 성 안에 샘이 5개소, 못이 1개소, 해자(垓字;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못)는 미착이라’고 되어 있다.
하동 읍성의 주변으로는 해발 150∼300m 내외의 산줄기가 뻗어 있으며, 산줄기에서 동향 혹은 동남향하여 뻗은 50m 내외의 능선들이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성내는 작은 곡부(谷部)를 이루고 있어 물은 대부분 남서쪽의 남문 터 주변에 집중되어 동쪽으로 흘러 남서 방향으로 배수되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현재 잔존 둘레는 1,400m이고, 폭 4.5m이며, 잔존 최고 높이는 5.2m 정도의 규모이고, 동·서·남쪽 체성 중간에는 옹성을 두른 문지와 그 좌우 및 성 모퉁이에 방대상(方臺狀)의 치성을 배치하고 체성 바깥에는 다시 해자를 두었으며, 해자와 나란하게 양마장(羊馬墻)을 두른 구조로 되어 있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산청 전 구형왕릉(傳 仇衡王陵) (0) | 2016.09.16 |
---|---|
[스크랩] 하동 중평리(仲坪里) 장구섬 화석 산지(化石産地) (0) | 2016.09.14 |
[스크랩] 하동 쌍계사 승탑(雙磎寺 僧塔) (0) | 2016.09.10 |
[스크랩] 하동 쌍계사 목조 석가여래 3불 좌상(雙磎寺 木造釋迦如來 三佛坐像) 및 4보살 입상(四菩薩 立像) (0) | 2016.09.10 |
[스크랩] 하동 쌍계사 대웅전(雙磎寺 大雄殿) (0) | 2016.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