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강원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박광희
거미줄동네
뿌리 같은, 오래된 골목이 줄에 걸려 바동거린다
나지막한 지붕들이 이마를 맞댄 좁다른 풍경
TV안테나선, 전깃줄, 빨랫줄들이 하늘을 묶은
제각각의 각도를 가진 도형들로 골목은 늘 무겁다
낡은 시간을 매단 전봇대, 습한 담벼락에 숨어있던
표적들이 나타날 때마다 한 뼘씩 몸집이 커지는
외등들, 거미는 가만히 자신의 넓적다리를 숨긴 채
낮고 좁은 골목길을 얼기설기 엮어 낚아챈다
돌돌 말아 고치로 엮어내는 솜씨는 놀랍다
어쩌면, 이 골목 사람들은
한 번도 하늘을 본 적이 없는지도 모른다
아니, 줄의 포박을 알고도 모른 척하는 지도 모른다
부글부글, 그깟 몸부림 쯤
진작 진흙 바닥에 가라앉히면 그만인 것을
바람의 입질에 걸려든 젖은 골목들의 눈 속
허공이 공허할 수 없는 건 저 줄들이 만드는 유혹 탓
코르셋처럼 집들이 꽉 끼인 것은 줄의 팽팽한 긴장 탓
낡은 모서리처럼 표지가 뜯겨져 나가
내력조차 희미해진 이곳 사람들, 뻐꾸기시계처럼
때가 되면 문을 열고 뛰쳐나가 울음 울면 그뿐
참붕어 같은 골목은 언제 줄을 벗어날 수 있을까
나지막한 허공을 저인망 줄들이 집들을 묶고 있다
한바탕 소나기가 쏟아진다 젖은 도형들이
허우적거린다, 골목이 환하게 열린다
일제히 미끼를 무는 붕어들의 입질
흰 와이셔츠 폐타이어, 화분, 방수천막지를 물어뜯는다
장마전선의 북상에 바삐 방적돌기를 부풀리는 거미
걸려든 집집의 내력들이 꽈리처럼 부풀어 오른다
동맥경화증에 걸린 골목, 줄에 걸려 파닥거린다
/당선소감/ 내게 주어진 소중한 길 이제 놓지 않을 것 | |
예심을 거쳐 올라온 작품 가운데 5편을 선정했다. 정정례의 `내력' 박명삼의 `빈센트 반 고흐의 귀' 강기순의 `미용실' 오영애의 `춘신 春信' 박광희의 `거미줄 동네'였다. 이 중 최종 세 편을 압축해 논의했다. `미용실에서'는 감각이 뛰어났고 일상적 삶을 노래한 것은 좋았으나 사유의 깊이가 미흡했다. `춘신 春信'은 발상은 좋으나 주제의식이 명징하지 않았고 시적인 역동성이 약하여 평면성에 그치고 말았다. 박광희가 응모한 여섯편 모두의 수준이 고르고 특히 그중 단연 돋보인 작품은 `거미줄 동네'였다. 이 작품은 현실인식이 뛰어나고 상상력과 시를 구성해 내는 능력이 탁월했다. 특히 이 시의 후반에서 보여준 “소나기가 쏟아진 다음 골목이 환하게 열리는”이라는 이미지 묘사는 시의 전반을 지배하는 삶의 고달픔과 어두움과 공허를 반전시킨 점이 이 시를 더욱 빛냈다. 매우 우수한 작품이었다. 이승훈 한양대명예교수, 이영춘 시인 |
'2022 신춘문예 詩 당선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2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조규남 (0) | 2012.01.04 |
---|---|
[스크랩] [2012 전남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정경희 (0) | 2012.01.04 |
[스크랩] [2012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여성민 (0) | 2012.01.04 |
[스크랩] [2012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정영희 (0) | 2012.01.03 |
[스크랩] [2012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이영종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