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게보기일러스트레이션 서장원 기자 yankeey@donga.com
더 많은 사람과 어딘가로 향한다… 거기에는 꽃도 새도 있다

지금보다 더 어렸을 때, 시가 꼭 내 것만 같았다. 어느 날부터는 시가 나보다 나았다. 시를 쓰고 거기서부터 떠나는 게 좋았다. 또 어느 날엔 시가 나보다 훨씬 더 나았다. 노란 옥스퍼드 노트에 또박또박 써내려갔다. 거기에 살고 있는 기분 같은 게 있었다. 더 이상 노트에 적지 않고 타이핑을 했다. 어느 순간에는 손가락에서 무언가 흘러나오는 것도 같았다. 거기에 삶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다. 상관이 없다. 초대 받은 시도 그렇게 나왔다. 앞으로도 즐겁고 외롭고 무지한 일들이 펼쳐질 거다.
문을 열어준 김혜순·조강석 선생님께 감사를 표한다. 이승하 선생님께 각별한 마음을 전한다. 천변을 함께 걸었던 그날의 이수명 선생님은 사랑하는 시인이다. 김근 선생님, 그리고 빠뜨릴 수 없는 작인(作人)이 있다. 더 아득한 곳에 윤한로 선생님도 있다. 예쁘기만 했던 학창 시절의 그 이름을 다 부르지 못해 미안하다. 반드시 불러야 하는 이름도 있다. 하형은 거의 모든 시를 함께 읽어주었다. 그리고 수영과 신지도 있다. 울고 싶지만 울 수 없는 일이 있는 것처럼, 부르고 싶지만 부를 수 없는 이름도 있다. 이런 것도 삶이다.
무궁한 세계에 사는 엄마 아빠. 그 둘 아래서 나는 자랐다. 함께 자란 동생도 있다. 더 많은 선생, 더 많은 사람과 어딘가로 향한다. 거기에는 꽃도 있고 새도 있다. 나는 이게 진짜 삶이라고 말해본다.
- 北은 대미 압박 발언 쏟는데…트럼프 “김정은, 약속지키는 사람”
- 北 ‘새 전략무기’ 발언에…공식 반응않는 靑, 내부선 “우려-기대 공존”
-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1983년 서울 출생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말이 간다’외 5편은 동화적 상상력에 기대고 있지만 풍부한 이미지가 사용되었고 이미지들이 겹치면서 오히려 뜻이 투명해지는 신선함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고른 수준의 말끔한 작품들 중 당선작이 될 만한 개성을 보여주는 작품이 없었다는 게 아쉽다. ‘무너진 그늘을 건너는 동안 어깨에 수북해진 새들’ 외 5편은 장점과 단점이 같은 지점에서 발견됐다. 개성 있는 자기만의 문장이 돋보였으나 이로 인해 때로는 어설프고 작위적인 문장이 돌출하고 있다는 점이 아쉬웠다.
김혜순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
조강석 연세대 교수
'2022 신춘문예 詩 당선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김지오(김임선) (0) | 2020.01.02 |
---|---|
2020년 머니투데이 경제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이선주 (0) | 2020.01.02 |
2020년 한라일보 신춘 문예 시부문 당선작 - 이도훈 (0) | 2020.01.01 |
2020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이주송 (0) | 2020.01.01 |
2020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이봉주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