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던 길 멈추고

[스크랩] 우리나라의 소중한 국보 서적 화상(書籍畵像)

문근영 2017. 9. 1. 09:28

우리나라의 소중한 국보 서적 화상(書籍畵像)



國寶 제70호  훈민정음(訓民正音)


서울 성북구 성북동 간송 미술관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며

조선 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이 그 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여서 대다수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 체계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명명하였다.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 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하였는데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였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 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國寶 제76호  이충무공 난중일기부 서간첩임진장초

(李忠武公 亂中日記附 書簡帖壬辰狀草)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

충무공(忠武公) 이순신(1545∼1598)께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중에서

육필로 집필한 일기로 연도별로 7권으로 나뉜다. 

 


國寶 제131호 이태조 호적 원본(李太祖 戶籍原本)



이 호적은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1335∼1408)의 본향인 영흥에서 작성한 것이다.

 


國寶 제132호  징비록(懲毖錄)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 칠년간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國寶 제149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이 책은 송나라 여조겸의 교편(校編)이며,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여

태종 년간에 간행한 것이다.

계미자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글자 주조술과

조판술의 발달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데 사용했던

기간이 짧아 전해지는 본이 희귀하다.


 

國寶 제150호  송조표전총류(宋朝表牋總類)



이 책은 태종(재위 1400∼1418)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펴낸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고 다만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였다.

 

 

國寶 제151호  조선왕조 실록(朝鮮王朝實錄)


 


이 책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 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로 기술하는

역사 서술의 한 방식)로 기록한 책이다.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있는 방대한 역사서이다.

실록을 편찬하는 작업은 다음 왕이 즉위한 후 실록청을 열고

관계된 관리를 배치하여 펴냈으며,

사초는 임금이라 해도 함부로 열어볼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일부 소실되었지만

20세기 초까지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오대산의

사고에 남아서 전해내려 왔다.

정족산, 태백산 사고의 실록은 1910년 일제가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하였다가, 광복 후 환수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 중이다.


 

國寶 제32호  해인사 대장경판(海印寺 大藏經板)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번지 해인사

  

 


이 대장경판(大藏經板)은 고려 고종(高宗) 때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새긴 목판(木板)이다.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 또는 일체경(一切經)을

말하며 불교 경전(佛敎經典)의 총서(叢書)를 가리키는 말이다. 

8만 4천 법문(法文)을 수록했다 하여

8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고도 한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현존 최고의 대장경판일 뿐 아니라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대장경판으로

우리 민족이 남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문화유산(文化遺産) 가운데 하나이다.


;;

國寶 제303호  승정원일기(丞政院日記)


 


인조 1년(1623) 3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왕명을 담당하던 기관인

승정원에서 처리한 여러 가지 사건들과 취급하였던

행정 사무, 의례적 사항 등을 매일 기록한 것이다.

이 책의 수량은 총 3,243책 393,578장에 이르며,

종이질은 닥나무종이이다

 


國寶 제152호 비변사 등록부의 정부등록(備邊司 謄錄附議 政府謄錄)



이 책은 조선 중기 이후 나라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최고 의결 기관인 비변사에서 처리한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과 함께 실록보다 앞서는

기본적인 역사 자료이다

현존하는 것은 광해군 9년(1617)∼고종 29년(1892) 사이의 273책이다

 


國寶 제153호  일성록(日省錄)



이 책은 조선 영조 36년(1760) 1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조정과 내외의 신하에 관련된 일기이다.

 


國寶 제110호  익재 영정(益齋 影幀)



고려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익재 이제현(1287∼1367)의 초상화이다.

이제현은 원나라의 만권당에서 조맹부 등과 교류하며

고려에 신학문과 사상을 소개하고,

성리학을 전파,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호는 익재·역옹으로, <국사>, <역옹패설> 등을 남겼다.

 


國寶 제111호  회헌 영정(晦軒 影幀)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라고 할 수 있다.

 

國寶 제239호  송시열 상(宋時烈像)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의 초상화이다.

송시열 선생은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힘있고

논리적인 문장과 서체에 뛰어났고

평생 주자학 연구에 몰두하여 율곡 이이의 학통을 잇는

기호학파의 주류이었다.

;


國寶 제135호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


 


조선 후기의 화가인 혜원 신윤복(1758∼?)이 그린 <단오풍정>,

<월하정인> 등 연작 풍속화 30여 점이 들어 있는 화첩으로

가로 28㎝, 세로 35㎝이다.

아버지 신한평의 뒤를 이어 한때 도화서의 화원이기도 하였던

신윤복은 참신한 색채가 돋보이는 산수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특히 풍속화에서 그만의 독특한 경지를 나타내고 있다.

 


國寶 제139호  군선도병(群仙圖屛)



조선 후기 화가인 단원 김홍도(1745∼?)가 그린 도석 인물화이다.

도석 인물화란 불교나 도교에 관계된 초자연적인 인물상을 표현한 그림이다.

이 그림은 원래는 8폭의 연결된 병풍그림이었으나

지금은 8폭이 3개의 족자로 분리되어 있다. 

 


國寶 제180호  완당 세한도(阮堂歲寒圖)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실학자로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금석학을 연구하였으며 뛰어난 예술가로

추사체를 만들었고 문인화의 대가였다.

이 작품은 김정희의 대표작으로 가로 69.2㎝, 세로 23㎝의 크기이다.

이 그림은 그가 1844년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

그린 것으로 그림의 끝부분에는 자신이 직접 쓴 글이 있다.

 

國寶 제216호  인왕제색도(仁旺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 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 세로 79.2㎝이다.
직접 인왕산을 보고 그렸는데, 비 온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상적 순간을 포착하여 그 느낌을 잘 표현하였다. . 
조선 영조 27년(1751)에 그려진 이 그림은 이제까지의 산수화가

중국의 것을 모방하여 그린 것에 반하여 직접 경치를 보고 그린

실경 산수화일 뿐만 아니라 그 화법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의 산수를

너무나도 잘 표현하였다. 따라서 그의 400여 점의 유작 가운데

가장 크고 그의 화법이 잘 나타난 조선 후기 실경 산수화다.

 ;;


國寶 제217호  금강전도(金剛全圖)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강산을 실제로 보고

그리는 실경 산수화풍을 연 겸재 정선(1676∼1759)이

영조 10년(1734)에 내금강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國寶 제237호  고산 구곡 시화병(高山 九曲 詩畵屛)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여러 화가들이 그린 그림과 시(詩)가 있는

12폭짜리 병풍이다.

세로 1.38m, 가로 5.62m로 바탕에 수묵과 엷은 채색을 하였다.

구곡의 명칭은 남송 주희의 무이구곡에서 시작된다.

우리나라 학자들이 그가 거주하던 계곡마다 구곡의 명칭을

붙이는 것은 주자학을 신봉하는 데에 기인한 것이며

이 고산구곡도 이에 해당되는 것이다.

 ;;ㅣ


國寶 제248호  조선방역지도(朝鮮方域之圖)



조선 전기의 우리나라 지도로 크기는 가로 61㎝, 세로 132㎝이다.

3단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맨 윗부분에는 ‘조선방역지도’라는 제목이 적혀있고

중간 부분에는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맨 아래 부분에는 지도 제작에 관련된

사람들의 관직·성명 등이 기록되어 있다. 
지도에는 조선8도의 주현(州縣)과 수영(水營) 및 병영(兵營)이 표시되었는데

이 지도는 명종 13년(1558)경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조선 전기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로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원본 지도로 이 시기 우리나라 지도의 제작 수준 및 형식을

알 수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


출처 : 불개 댕견
글쓴이 : 코스모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