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우도 홍조 단괴 해빈(牛島 紅藻團塊 海濱)
전경
전경
홍조 단괴(현미경)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438호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2215-5 등 7필지의 지선에 인접한 공유 수면
•지정일; 2004년 4월 9일
•분류; 지질 지형
•내용; 제주도 북쪽 해안에는 대부분 패사(貝砂)로 이루어진 사빈(砂濱) 또는 사구(砂丘)들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시 우도의 해빈은 패사가 아닌 홍조사(紅藻砂) 또는 홍조 단괴로 되어 있어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우도의 해빈을 이루는 홍조 단괴의 직경은 1cm 내외부터 5∼8cm 정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도의 해안가에 발달한 홍조 단괴 해빈은 길이가 약 300m, 폭이 약 15m이며, 이 지역에 분포하는 흑색의 현무암과 매우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해안가에 발달한 홍조 단괴 해빈은 과거에는 ‘산호사 해빈’으로 잘못 알려져 왔으나, 최근 해빈 퇴적물을 이루는 구성 요소가 홍조 단괴임이 밝혀졌다. 우도 해안가에 서식하는 홍조류는 광합성을 하여 세포 혹은 세포 사이의 벽에 탄산칼슘을 침전시키는 석회 조류 중의 하나로 보통 직경이 4∼5cm이고 형태는 전체적으로는 구형이며 표면이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여준다. 보통 홍조 단괴의 내부 조직과 생식 기관은 잘 보존되어 있다.
•특기 사항; 외국에서는 미국의 플로리다, 바하마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홍조 단괴가 보고되고 있으며, 주로 암초 주변에서 관찰되고 있다. 하지만 우도에서와 같이 홍조 단괴가 해빈의 주 구성 퇴적물을 이루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가던 길 멈추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읍 조일훈 가옥(城邑 趙一訓 家屋) (0) | 2017.07.22 |
---|---|
[스크랩] 성읍(城邑) 민속마을 (0) | 2017.07.20 |
[스크랩] 성산 일출봉 천연 보호 구역(城山 日出峰 天然保護區域) (0) | 2017.07.17 |
[스크랩] 제주 수산동굴(水山洞窟) (0) | 2017.07.17 |
[스크랩] 제주 평대리(坪岱里) 비자나무 숲 (0) | 2017.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