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스크랩] [2013 신춘문예-시조 당선작] 번지점프 해송 현애(懸崖)/송필국

문근영 2013. 1. 3. 11:18

번지점프 해송 현애(懸崖)/송필국

 

 

한 점 깃털이 되어 허공 속을 떠돌다가

치솟은 바위틈에 밀려 든 솔씨 하나

서릿발 등받이 삼아 웅크리고 잠이 든다

산까치 하품소리 따사로운 햇살 들어

밤이슬에 목을 축인 부엽토 후비작대며

아찔한 난간마루에 고개 삐죽 내민다

버거운 짐 걸머메고 넘어지다 일어서고

더러는 무릎 찧어 허옇게 아문 사리

뒤틀려 꼬인 몸뚱이 벼랑 끝에 매달린다

떨어질듯 되감아 오른 힘줄선 저 용틀임

눈 이불 솔잎치마 옹골찬 솔방울이

씨방 속 온기를 품어 천년 세월 버티고 있다

*현애: 벼랑에 붙어 뿌리보다 낮게 기우러져 자라는 나무

[당선소감] 시조 속에 더 넓은 세상 담고 싶어

▲ 송필국

해마다 연말이면 열병을 앓곤 했다. 밤을 밝혀 글을 써도 그게 아니요, 다시 개칠을 해봐도 아닌 시조를 쓰느라 그랬고, 그 글 보내놓고 당선 소식을 기다리느라 더욱 그랬다. 그래도 끝내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적공을 드린 것이 결국 오늘에 이르게 된 것 같아 너무 기쁘다.

그날도 어느 야외 주차장에서 아내를 기다리고 있었다. 꽁꽁 언 하늘에는 듬성듬성 별이 뜨고 있었고 그때 그 별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은 것이다. 기다리던 사람이 왔고 우린 서로 꼭 껴안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하기야 무슨 말이 더 필요하겠는가.

그냥 글이 좋아 글을 썼다. 시나리오로 시작해서 소설로, 다시 시로, 장르 속을 떠돌며 추천도 받아보고 신인 문학상도 타보곤 했다. 그러다 뒤늦게 빠져든 것이 우리 정형시 시조다. 항상 모자라거나 넘쳐나거나 아니면 꽉 조이거나 헐렁하거나 하던 그 매력에.

좋아하는 책을 많이 읽고 글도 좀 써보자고 일찍이 귀농을 했다. 하지만 어디 농촌 생활이 선비 타령이나 하고 유유자적할 여유가 있었던가. 온실작물이 주업이 되어 버린 지금 낮에는 시설 작물과 씨름을 하고, 밤이면 늘 제멋대로인 시조를 죽기 살기로 껴안고 살았다.

작은 렌즈를 통해 우주를 다 올려다 볼 수 있는 천체 망원경같이 앞으로 시조 속에 더 넓은 세상을 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생각이다. 늘 시조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고운 정 미운 정 들여가며.

오늘 이 영광스러운 지면을 열어주신 서울신문사와 당선이라는 큰 은혜를 베풀어주신 이근배, 한분순 두 분 심사위원님께 고개 숙여 고맙다는 말씀 드린다.

처음 시조의 길을 열어 주신 윤금초 교수님, 그리고 늘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봐 주신 주위의 모든 분들께도 감사드린다.

■약력

▲1948년 경북 칠곡군 출생 ▲경북대 농생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수료 ▲1973년 영화잡지 시나리오 공모 2회 추천 ▲2003년 문학세계 시부문 신인상 ▲한국문인협회 칠곡지부장

[심사평]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표현 돋보여

오래 담근질해 온 우리의 모국어가 숨겨진 가락을 찾아내 시조의 형식으로 새롭게 태어날 때 그 울림은 크고 받아들이는 느낌은 더욱 깊어진다.

▲ 심사위원 한분순(시조시인·왼쪽), 이근배(시조시인).

‘온전한 우리의 시인 시조가 형식이라는 굴레를 쓰고서도 어쩌면 이렇게 자유로울 수 있을까’ 하는 물음 앞에는 오히려 더 거세고 모질게 파고드는 이 땅의 ‘시재’(詩才)들이 있기 때문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당선권에 올라오는 작품들이 늘어가고 있는 만큼 올해도 열기는 높았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시적 ‘오브제’를 역사성이 담긴 사람이나 고적, 유물에서 찾는 흐름이 있다는 것이다. 작품의 중량감을 더하는 것은 좋으나 신춘문예의 한 패턴으로 인식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다.
당선작 ‘번지점프-해송현애’(송필국)는 바닷가 절벽에 붙어 사는 키가 자라지 못한 늙은 소나무에 기대어 세상의 바람과 서리에 맞서는 인간의 생명력을 그려내고 있다. “버거운 짐 걸머메고 넘어지다 일어서고” “떨어질듯 되감아 오른 힘줄선 저 용틀임”에서 짙은 삶의 진액이 흘러나온다. “솔씨하나”에서 “천년의 세월 버티고”까지 4수의 구성과 의미의 배열이 잘 짜여지고 낱말 고르기와 꾸밈도 날이 서 있고 맵차다. 앞으로 시조의 나아갈 바에 큰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끝까지 겨룬 작품으로 ‘알츠하이머’(박복영), ‘경을치다’(김성배), ‘막사발 또는 행성’(송정훈), ‘겨울 소리를 보다’(김희동) 등이 각기 다른 감성과 개성적인 수사로 놓치기 아까웠음을 밝혀 둔다. 정진을 빈다.

출처 : 대구문학신문 - 시야 시야
글쓴이 : 문근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