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을 찾아서

[스크랩] 세계문화유산(748)/ 페루/ 찬찬 고고 유적 지대

문근영 2018. 1. 18. 03:11

세계문화유산(748)/ 페루

 

찬찬 고고 유적 지대(Chan Chan Archaeological Zone; 1986)

 

 

Water reserve in Chan Chan

 

 

 

 

Chan Chan, capital of kingdom Chimu

 

Ruins of the citadel of Chan Chan in Trujillo, Peru

 

 

 

Museum of Chan Chan

 

 

 

 

 

 

 

 

 

 

 

 

 

   15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잉카 제국에게 점령된 치무(Chimu) 왕국의 수도였던 우안차코 지구[District of Huanchaco]에 위치한 찬찬은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기 전까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이 도시가 독립적인 단위인 9개의 요새궁전으로 나뉜 것으로 보아 엄격한 정치적사회적 전략으로 도시가 계획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찬찬 계획도시는 스페인 정복 이전의 가장 큰 도시이자 사라진 치무 왕국의 유일한 증거이며, 거주지의 모습은 뛰어난 걸작이다. 그리고 도시의 계층적인 구조는 정치적사회적 이상을 반영한 것으로, 이상이 이렇게 분명하게 표현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치무 왕국은 15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잉카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긴 전쟁을 겪은 후, 1470년 무렵 잉카의 투팍 유판키(Tupac Yupanqui) 왕은 민찬카만(Minchancaman) 왕을 쿠스코(Cuzco)의 포로로 잡았다. 왕의 아들인 추문 카우르(Chumun Caur)가 북쪽 왕국을 다스렸으며, 이후에는 잉카로 인해 분열되었다. 60년 후, 잉카 인들에게 증오심을 가졌던 치무 족은 스페인 정복자들을 환영했으며, 찬찬에서 5떨어진 곳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고, 1535년에 피사로(Pizarro)의 고향 이름을 따서 트루히요라고 하였다. 그리고 찬찬이 있던 곳은 버려졌다. 1200년 무렵 치무 문명에 대한 고고학 자료에 따르면, 바로 이곳에 4세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모치카(Mochica) 문화가 있었다고 한다. 북쪽 과야킬(Guayaquil) 만에서 남쪽 건조 지대까지 복잡한 관개 시설을 지었으며, 80의 수로를 통해 흐르는 강물을 이용하여 찬찬 인근 지역에 물을 공급했다. 그러나 더 이상 치무 문명의 절정기를 풍미했던 이 지역의 풍요로움을 상상하기 어려워졌다. 과거에는 스페인의 보물 사냥꾼이 찬찬 유적지를 약탈했으며, 현재에도 국가 차원의 유산 보호 법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굴꾼들의 약탈이 계속되고 있다. 스파니아르드 발타사르 마르티네스 데 콤파뇬(Spaniard Baltazar Martinez de Companon)17551785년에 유적의 단순 도면을 작성했다. 그리고 1969년부터는 마이클 E. 모즐리(Michael E. Moseley)가 주도한 하버드대학 발굴 사업을 통해 조사가 실시되었지만 유적의 지도는 불완전했다. 이곳의 고고학 탐사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취약한 건축 자재인 어도비 벽돌[햇볕에 말려서 굳힌 벽돌]이 급속하게 부식되는 것을 막을 수 없어, 이 유적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아울러 과거에 발굴되어 조사가 이루어진 구조물은 대부분 완전히 사라졌다. 관광객들은 찬찬의 규모 자체와 계층적인 도시 공간이 엄격하게 체계화되어 있다는 점에 놀란다. 전체 면적 6미만인 이 도시는 큰 직사각형의 9개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역은 두껍고 높은 흙 담으로 구분된 요새또는 궁전들이다. 이 각각의 궁전은 독자적인 도시 단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 단위는 하나 이상의 광장 주변을 중심으로 몇 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광장은 경우에 따라 의식적인 성격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여기에는 신전과 주거지, 저장소, 주방, 저수지, 과수원, 정원, 장례 시설, 공동묘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추상적인 무늬와 사람 형상, 동물 모양의 프리즈로 장식된 거친 벽은 늘어서 있는 커다란 유적에 이례적으로 화려함을 부여한다. 9개의 직사각형 구역 밖에는 서쪽과 남쪽으로 네 군데의 산업 구역이 있다. 이곳에서 이루어진 주요 활동은 목공과 직물 직조, 금은 세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남쪽 지역은 관개 시설의 유적지가 있는 것으로 보아 농지로 이용된 것 같지만, 신전도 발견되었다.

출처 : 댕견 그리고 우리
글쓴이 : 카페지기 원글보기
메모 :